[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시각지능 AI(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하는 한국딥러닝이 비전언어모델(VLM) 기반 광학문자인식(OCR) 솔루션 'DEEP OCR+'를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기존 OCR의 문자 인식 기능을 넘어 문서의 의미와 구조를 자동 분석하고 핵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난 5년간 4억장 이상의 텍스트·이미지 문서를 학습한 자체 VLM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한국딥러닝 관계자는 "기업들은 별도의 데이터 수집이나 라벨링 없이도 다양한 문서 유형을 즉시 처리할 수 있다. 최소한의 고객 데이터만으로도 최적의 정확도를 보장한다"고 했다.
기존 OCR 솔루션은 문서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데 그쳐 표, 조항, 문단 등 복잡한 문서 구조를 인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계약서나 청구서처럼 포맷이 일정하지 않은(비정형) 문서의 경우 문서마다 별도 설계와 라벨링이 필요해 OCR 도입·유지 비용이 높았다.
DEEP OCR+의 경우 특정 포맷에 의존하지 않고도 문서의 전체 구조와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VLM 기술을 바탕으로 비정형화된 문서도 즉시 처리 가능하다. 특히 주요 정보를 구조화된 형태로 정리해 준다.
예를 들어 계약서를 인식하면 날짜, 금액, 주요 조항 등을 추출하고 리스크가 될 수 있는 항목을 요약해 표시하는 식이다. 이를 통해 문서 검토·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ERP(전사적 자원관리) 등과 연동해 업무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김지현 한국딥러닝 대표는 "최근 단순한 인식 기술을 넘어 문서 내 의미와 맥락까지 파악할 수 있는 AI 기술에 대한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이번 신제품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문서 처리 기술의 진화를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