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정부·지자체 하청기관 된 액셀러레이터

김태현 기자 기사 입력 2025.02.19 05: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KAIA)는 '2024 대한민국 액셀러레이터(AC) 및 초기투자 생태계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업계 종사자 1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에는 2024년 초기투자 생태계에 대한 평가와 함께 2025년 전망이 담겼다.

우선 응답자의 절반은 2024년 초기투자 생태계가 1년 전보다 어려워졌다고 답했다. △스타트업 투자환경 △정부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스타트업 사업환경 등 항목별 생태계 분위기를 묻는 질문에는 정부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가장 박한 점수를 줬다.

정부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전체 10%에 그친 반면, 부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56%에 달했다. 정부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관련 세부 질문 중 '정부사업 수익구조(사업성)'에 대해 전체 74.1%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정부사업 수주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체 63.5%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이들의 답변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벤처투자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벤촉법)에 따르면 창업기획자, 즉 AC의 역할은 △초기창업기업의 선발 및 전문보육 △초기창업기업에 대한 투자 △개인투자조합 또는 벤처투자조합 결성 등이다. 그러나 실제 AC 업계가 돌아가는 상황을 보면 이와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AC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투자실적이 한 건도 없는 AC가 10곳 중 4곳이다. 대부분 보육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공공기관이나 지자체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위탁 운용하는 방식이다. 벤처투자 혹한기 출자자(LP) 모집이 쉽지 않다는 측면에서 어떨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선택은 AC 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다. 대부분 AC는 자체적인 브랜드를 갖지 못하고, 공공기관과 지자체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하청기관으로 전락했다.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 보육사업 특성상 운영에 허덕이다 보니 미래 성장에 대한 고민을 할 여유도 없다. 결국 AC들은 정권과 정책이 바뀔 때마다 사업 기반이 흔들릴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대학교 연구실 단계부터 딥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블루포인트파트너스, 국내 스타트업의 동남아 진출을 지원하는 더인벤션랩 등 저마다의 특색을 갖고,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한 AC들도 있다. 하청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색깔을 가진 AC들이 더 나와야 한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액셀러레이터'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