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주관 '2025년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은 지역 고유의 특성과 자원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사업이다. 사업화자금 지원 및 교육·멘토링, 네트워킹, 지역연계 프로그램, 연계사업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올해는 전국 로컬크리에이터 개인 210개팀과 협업 24개팀을 지원한다. 제주센터는 제주권을 담당해 개인 28개팀, 협업 3개팀을 지원할 예정이다. 선정된 기업은 개인 소상공인은 최대 4000만원, 협업팀의 경우 최대 7000만원의 사업화 지원금을 받는다.
모집은 오는 27일 오후 4시까지로 '소상공인24' 홈페이지의 지원사업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 참여 소상공인 모집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주센터는 이번 주관기관 선정으로 연간 약 10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이 예산은 로컬크리에이터의 체계적인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기획해 운영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협력해 라이콘 정책의 단계별 지원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제주센터 관계자는 "2025년에도 제주도의 고유의 자원을 잘 활용하고 사업을 하는 소상공인들을 발굴해 집중 육성할 예정"이며 "지역의 우수 소상공인 육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센터는 6년 연속 제주지역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주관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까지 로컬크리에이터 127개사를 지원했으며, 2023년과 2024년 전국 최우수 로컬크리에이터를 2년 연속 배출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https://thumb.mt.co.kr/06/2025/02/2025021214020469392_1.jpg/dims/optimize/?1739358015)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은 지역 고유의 특성과 자원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사업이다. 사업화자금 지원 및 교육·멘토링, 네트워킹, 지역연계 프로그램, 연계사업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올해는 전국 로컬크리에이터 개인 210개팀과 협업 24개팀을 지원한다. 제주센터는 제주권을 담당해 개인 28개팀, 협업 3개팀을 지원할 예정이다. 선정된 기업은 개인 소상공인은 최대 4000만원, 협업팀의 경우 최대 7000만원의 사업화 지원금을 받는다.
모집은 오는 27일 오후 4시까지로 '소상공인24' 홈페이지의 지원사업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 참여 소상공인 모집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주센터는 이번 주관기관 선정으로 연간 약 10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이 예산은 로컬크리에이터의 체계적인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기획해 운영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협력해 라이콘 정책의 단계별 지원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제주센터 관계자는 "2025년에도 제주도의 고유의 자원을 잘 활용하고 사업을 하는 소상공인들을 발굴해 집중 육성할 예정"이며 "지역의 우수 소상공인 육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센터는 6년 연속 제주지역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주관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까지 로컬크리에이터 127개사를 지원했으며, 2023년과 2024년 전국 최우수 로컬크리에이터를 2년 연속 배출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로컬크리에이터 소상공인 26개사 육성
- 기사 이미지 '팁스 선정률 100%' 제주혁신센터, 올해 지원금 최대 45억 확보
- 기사 이미지 대·중견기업-제주 스타트업 매칭…오픈 그라운드 성과공유회 성료
관련기사
- 뇌 신경치료 로봇 개발 '마그넨도', 카카오·베이스벤처스 투자유치
- 타임트리, 대학생 이벤트 캘린더앱 '네티' 인수...MZ 이용자 확대
- 승계 끊긴 中企, 직원 소유로…리버티랩스, 이든푸드서비스 인수
- 美빅테크 출신이 창업한 멘탈케어솔루션 '콰블', DHP서 투자유치
- '수학비서' 운영사 포스트매스, 지난해 매출 24억…전년比 3배↑
- 기자 사진 남미래 기자 future@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