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CB인사이트가 최근 발간한 'State Of Venture 2022'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벤처투자 규모는 4151억달러(약 513조원)로 2021년 6384억달러(약 790조원) 보다 35% 급감했다.
2021년 투자액은 CB인사이트가 "벤처의 해, 한 마디로 완전히 제정신이 아니었다(In one word, 2021 was BONKERS)"라고 표현할 만큼 막대한 자금이 몰렸던 시기다. 2020년 2940억달러(약 364조) 대비 111% 급증했다.
2021년 4분기 1807억달러→2022년 4분기 659억달러로 '뚝'

지난해 1분기 1504억달러(약 186조원)만 해도 호황기를 이어가는 듯했으나 2분기 1174억달러(약 145조원), 3분기 814억달러(약 100조원), 4분기 659억달러(약 81조원)로 줄며 얼어붙은 투자 시장의 상황을 그대로 보여줬다.
아울러 스타트업이 1회 1억달러(약 1200억원) 이상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는 메가 라운드(mega-round) 투자는 지난해 923건으로 집계됐다. 2021년 1590건에서 40% 넘게 감소했다.
신규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의 수도 줄었다. 지난해 새롭게 유니콘에 등극한 스타트업은 258곳으로 2021년(539곳)보다 52% 감소했다. 투자 호황기 때는 한 분기당 100개 이상씩 유니콘이 늘었으나 지난 4분기에는 단 19개 증가에 그쳤다.
투자자들의 엑싯(Exit, 투자금 회수)도 난항을 겪었다. 지난해 글로벌 인수합병(M&A)은 1만37건으로 2021년(1만956건)과 비교해 900여건이나 차이 났다. 기업공개(IPO) 수는 716건으로 전년(1038건) 대비 30% 이상 떨어졌다.
국내 투자액도 상반기→하반기 47% 감소

글로벌 벤처투자 상황과 비교하면 전체적인 감소 폭은 크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반기별로 나눠서 보면 하반기 투자금이 3조8205억원으로 상반기 7조3199억원에서 무려 47% 가량 줄며 '투자 절벽' 상황을 체감케 했다.
지난해 국내 스타트업의 M&A 사례는 126건으로 전년 57건 대비 2.2배 증가했다. 스타트업 간 M&A가 증가한 것도 투자 한파와 관련 있다. 투자시장이 경색되자 엑싯하려는 수요가 많아졌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투자를 받지 못해 자금난을 겪는 스타트업이 M&A로 돌아선 경우가 늘었고, 주로 동종업계에서 시너지가 날 수 있는 스타트업끼리 M&A가 이뤄졌다. 올해도 투자 혹한기가 이어지면서 M&A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유망 스타트업이 문을 닫지 않도록 스타트업 간 M&A를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 스타트업 생태계를 유지·확장하는 차선책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최항집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은 "역량 있는 스타트업이 사장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비교적 자금 여유가 있는 스타트업은 사업 확장의 기회로 M&A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전략적인 M&A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유니콘팩토리'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알림] 불확실성 파고 넘을 '등대'…유팩 네트워킹 세미나 개최
- 기사 이미지 "모두 국내파"…딥시크와 량원펑, 우리에게 남긴 파문[차이나는 중국]
- 기사 이미지 스마트폰 사용자 27%, AI 자주 쓴다…반년 사이 2배로
관련기사
- 농촌 의료접근성 문제, 비대면 진료로 푼다…그린랩스·굿닥 맞손
- '스니커즈 맛집' 번개장터, 패션 카테고리 거래액 1조 코앞
- '똑똑한 가전구매' 가전나우, 스텝업 도전기업 선정…총 10억 지원
- '팬덤으로 수익창출' 비마이프렌즈, 美 시작으로 글로벌 공략 속도
- "개발자 채용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팅-프로그래머스 서비스 연동
- 기자 사진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