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窓] 스타트업 유인으로 지역균형발전 도모해야

윤지환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기사 입력 2022.08.16 16:17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UFO칼럼]

통계청과 한국고용정보원 자료에 의하면 대한민국 면적의 약 12%에 불과한 수도권에 총 인구의 약 51%가 살고 있고 상위 1000대 기업의 약 74%가 몰려 있다. 새로운 일자리의 태동인 스타트업의 상황도 비슷하다. 스타트업 비영리 협력단체인 스타트업얼라이언스의 발표자료에 의하면 10억원 이상 투자받은 스타트업의 약 80%, 100억원 이상 투자받은 스타트업의 약 85%가 서울에 근거를 두고 있다. 수도권 집값 급등과 지방소멸 등 대한민국이 직면한 여러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스타트업을 유치해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이를 위해 3가지 유인책이 필요하다.

첫째, 지역내 스타트업 육성기관에 대한 지원이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고수익을 기대하고 창업을 하는 백만 개 정도의 기술 사업 아이디어 중 IPO(기업공개)까지 가는 기업은 불과 6개에 그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중소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45.5%가 창업관련 지식과 능력, 그리고 경험의 부족을 장애요인으로 꼽았다. 현재 수도권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의 팁스타운, 서울테크노파크의 청년창업지원센터와 같은 공공 창업지원기관뿐만 아니라 엘캠프(롯데재단), 마루180(현대아산재단)과 같은 민간 창업지원기관이 많아 창업교육, 전문가 멘토링과 경진대회 개최 등이 용이하다. 이같이 스타트업이 성공으로의 험난한 길을 순항하려면 각종 조언과 지원을 해줄 육성기관이 가까이 위치해 교류가 활발해야 한다. 지역에서도 스타트업을 유치하려면 스타트업 조력자에 대한 지원도 함께 필요하다는 얘기다.

둘째, 지역에도 스타트업의 사무공간에 대한 조성이 필요하다. 허허벌판의 외곽지역에 저렴한 부지와 감세 혜택을 주는 것만으로는 스타트업 유치 효과가 미미할 수 밖에 없다. 차라리 지역의 도심 요지에 스타트업이 생겨나도록 유도해야 한다. 아무래도 업무와 문화, 여가 시설이 밀집한 도심지가 유동인구가 많고 정보교류가 활발해 청년들이 기업을 시작할 매력지가 될 수 있다. 현재는 스타트업이 입주할 수 있는 공공 창업지원기관이 주로 수도권에 있고 스파크플러스, 위워크와 같은 민간 공유오피스도 수도권에 다수 분포해 스타트업 대부분이 수도권에 사무와 미팅을 위한 근거지를 두게 된다. 민간 사무공간뿐만 아니라 국가적 지원도 수도권보다는 땅값이나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의 도심지에 스타트업 인재가 매력을 느낄 사무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지역의 유망 스타트업에 자금을 지원할 투자자에 대한 유인이 필요하다.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의 기업가정신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6.8%가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 자금 및 기업 성장 자금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현재 수도권에는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액설러레이터, 자금을 지원하는 벤처캐피털이 모여있어 창업을 꿈꾸는 청년들이 투자자들과 네트워킹하기가 용이하다. 하지만 창업 관련 투자자금 흐름이 지역에는 원활하지 못하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기금 중 지역특화산업, 지역혁신 선도기업 등에 투자할 수 있는 기금 종류는 다양하지만 실제로 지역 스타트업의 태동과 혁신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기에 한계점이 지적된다. 여러 벤처기업에 대한 초기투자를 활발히 하는 국책은행의 지역 이전 가능성은 스타트업의 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어 새 정부에서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창업을 꿈꾸는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현상은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는 스타트업 육성기관과 사무공간, 투자자가 수도권에 밀집해 있어서다. 새롭게 시작하는 정부는 수도권 과다 집중으로 발생하는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를 설치했다. 이를 계기로 지역에도 스타트업을 유치할 수 있는 3가지 유인책을 통해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대한민국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기를 기대해본다.

윤지환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UFO칼럼' 기업 주요 기사

  • 기자 사진 윤지환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