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 제2, 3의 '큐어버스' 나오려면

류준영 기자 기사 입력 2024.12.03 08: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우리가 보는 세상]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약 5000억원의 초대형 기술이전에 성공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소기업 큐어버스는 첨단공공기술 이전 및 사업화의 전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이끈다.

큐어버스는 지난달 16일 이탈리아 글로벌 제약사 안젤리니파마와 먹는 치매 신약 후보물질 'CV-01' 기술에 대한 총 3억7000만 달러(약 5185억원)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지금까지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기술 수출 기록 중 역대 최고 규모다. 사실 그간 출연연이 개발한 기술이 국내 기업에 이전되는 경우가 많지 않았을 뿐더러 해외로 수출되는 일 자체도 흔치 않아서 이번 사례는 더욱 이목이 끌었다.

우리가 R&D(연구·개발) 투자 성과를 이야기 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언제부터인가 공공연구기관은 "미활용 휴면특허만 양산한다", "산업계 기술 수요와 불일치한다" 등의 비판을 받는 게 당연시 됐다. 하지만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1% 시대가 닥치고 경제 엔진이 서서히 식어가는 상황에서 더는 두고만 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이런 지적이 지속된 이유를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연구소들은 논문을 몇 개 썼는지, 특허를 몇 개 냈는지를 더 중시한다. 이런 평가기준을 맞추지 않으면 성과 측정, 예산 배분 등에서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당장 손에 잡히는 결과가 우선인 상황에서 기업으로 기술이전 및 상용화는 처음부터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그렇다 보니 출연연에 1년간 5조원의 예산이 투입하는 데 기술료 수입은 연간 1300억원 수준으로 정체 중이다. 대학 및 출연연 기술 도입 및 출자로 사업화한 기업 비율이 우리나라 전체의 4.1%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기술이전 이후에도 지속적인 지원과 공동연구가 필요하지만 R&BD(사업화 연계 기술개발) 예산과 인센티브 부족으로 기술이전·사업화 성과 부진 문제가 고착화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최근 기자브리핑에서 "혁신기술이 나와도 사업화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기술 사업화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장관직을 걸겠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의 뜻대로면 '유망 기술 발굴→기획창업→ 스케일업→후속투자→회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유연한 생태계를 과학기술계에 수혈해야 한다.

이런 변화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앞으로 AC(액셀러레이터), CVC(기업형 벤처캐피탈) 등 외부 지원기관과의 원활한 협업 체계 마련, 사업화·창업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자금조달, 직무발명보상금 비과세 전환, 기존 TLO(기술이전조직)의 반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아 적잖은 진통도 예상된다.

논문·특허 위주의 성과 채점식 평가로 설익은 성과만 양산하는 악순환은 이제 끊어내야 한다. 그러려면 긴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한다. 무엇보다 흔들리지 않고 밀어부칠 수 있는 정부의 의지도 중요하다. 공공연구기관이 미활용 휴면특허만 양산한다는 오명을 듣는 건 올해가 마지막이었으면 한다.

큐어버스  
  • 사업분야의료∙헬스케어
  • 활용기술기타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큐어버스'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