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반 비수술적 근골격계 치료 로봇 솔루션을 개발하는 메디스비가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DHP)로부터 시드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투자금액은 비공개다.
메디스비는 로봇이 반복적인 관절 가동술을 대신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관절 가동술은 근골격계 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요소지만, 전문 의료인의 노동집약적 시간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수기 도수치료 방식은 치료사 1명이 1회 치료에 약 30분을 소요하며, 하루 진료 가능 인원은 10~15명에 불과하다. 특히 주치의가 직접 치료에 참여하는 비율은 3% 미만으로 환자에 따라 치료 접근성과 질적 편차가 클 수밖에 없었다.
이에 메디스비는 AI 보조 기능과 로봇팔을 기반으로 관절가동술을 제공하는 의료기기를 개발 중이다. 주치의 또는 물리치료사가 약 3분간 치료 동작을 설정하면 로봇이 해당 동작을 학습해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1회 치료 참여 시간이 5분 수준으로 줄고, 하루 치료 가능 환자 수는 90명 수준까지 확대될 수 있다. 주치의의 치료 시행률도 60% 수준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기술적으로도 우수하단 평가다. 기존의 치료 기기들이 적용 범위나 자세가 제한적인 반면, 메디스비의 제품은 상하지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다양한 운동 동작이 가능하다. 적용 자세도 다양해 치료자가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는 물론, 상태에 따른 단계적 치료 적용도 가능하다.
메디스비는 단순한 반복 운동을 넘어 AI 기반 완전 자동화 치료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초기에는 의료인의 설정을 통해 로봇이 치료 동작을 수행하지만 향후 환자 상태를 스스로 분석해 최적의 동작을 제공하는 자율형 치료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미국, 일본, 중국, 우즈베키스탄 등 글로벌 시장 진출도 준비 중이다.
홍가영 DHP 심사역은 "반복적인 물리치료 업무를 로봇이 자동화함으로써 의료인의 노동 부담은 줄이고 치료의 접근성과 질은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며 "메디스비는 의료 현장의 현실적인 수요를 파악해 향후 디지털 재활 분야에서 글로벌한 임팩트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준열 메디스비 대표는 "로봇 기술을 통해 의료진이 본연의 전문성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며 "향후 AI 기반의 완전 자동화 치료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환자 맞춤형 로봇 재활 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