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는 AI(인공지능) 법·규제·정책 플랫폼 기업 코딧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과 함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Regulatory Policy Outlook 2025'를 분석한 '2025 OECD 규제정책전망 분석과 한국의 대응방안' 이슈페이퍼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이슈페이퍼는 대통령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을 앞두고 규제 환경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공개돼 각 정당의 규제 개선 공약 수립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OECD 보고서는 회원국의 규제정책과 거버넌스 수준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규제 품질 향상을 위한 제도적 기준과 정책 사례를 공유하는 대표적 간행물이다. 특히 2025년 보고서는 규제를 단순한 집행 수단이 아닌 디지털·녹색 전환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는 국가 전략 역량의 핵심 수단으로 재정의하며 각국의 규제 운영 수준을 평가했다.
코딧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은 이슈페이퍼에서 한국은 규제영향분석(RIA) 및 사후평가 제도화 수준은 상위권이지만 국회 발의 법안에 대한 RIA 미적용, 전략적 조정 기능 부족, 부처 간 협력 미흡 등 제도의 구조적 한계가 반복적으로 지적됐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코스포와 코딧은 △규제영향분석을 포함한 규제거버넌스 법제화 △연례 규제성과보고서 제도화 △부처별 규제운영 수준 평가 시스템 구축 △디지털·녹색 전환 대응을 위한 규제기관 역량 강화 △지속가능한 규제 개선 피드백 체계 구축 등 5대 구조적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정지은 코딧 대표는 "스타트업 생태계가 겪는 규제 불확실성과 비효율을 줄이기 위해서 정부와 민간이 함께 만드는 실질적인 피드백 체계가 중요하다"며 "이번 대선에서 현장의 목소리가 제도에 녹아들어 규제정책에 실질적으로 반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코스포 관계자는 "OECD 보고서는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주로 규제 도입 후기 단계에 집중된다거나 입법 과정에 체계적인 참여가 보장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며, "코스포 등 스타트업계 이해관계자가 규제 논의 초기부터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코스포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계기로 스타트업 친화적 규제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제안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10일 '대선 정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앞으로도 주요 후보 캠프와의 정책 간담회, 정책제안서 전달 등을 통해 스타트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인 규제 개선 방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코딧은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을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AI(인공지능), 헬스케어·제약, 순환경제 등 주요 산업의 글로벌 정책 인사이트를 데이터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통령 탄핵 인용과 향후 대선 전망', '2025 미 무역장벽보고서(NTE)' 등 슈페이퍼를 발간해 기업의 리스크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정지은 코딧 대표는 코스포 대외정책분과위원장으로서 정부 및 국회에 혁신 기업의 정책 메시지를 전달하는 민관 협력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