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에 56조 긁어" 내수 키우는 대한외국인…'블루오션'으로 뜬다

고석용 기자 기사 입력 2025.04.28 13: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MT리포트-또 하나의 내수, 대한외국인]①
[빅트렌드]체류 외국인 265만명, 2030년 300만명 넘을 듯
신용카드 사용액 56조, 전체 6.9%...1인당 소비액도 커져
내수경제 핵심 주체로 떠올라...외국인 대상 산업도 성장세

[편집자주] 국내 체류 외국인, 일명 '대한외국인(K-외국인)'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소비규모도 늘고 있어서다. 이에 기업들, 특히 발 빠른 스타트업들은 이들만을 위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대한외국인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짚어본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의 신용카드 사용금액 추이/그래픽=윤선정
국내 거주 외국인의 신용카드 사용금액 추이/그래픽=윤선정
국내 체류 외국인이 국내에서 신용카드로만 1년에 56조원을 넘게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전체 개인 신용카드 소비액(815조원)의 6.9%에 달하는 규모다. 외국인 수와 1인당 씀씀이가 커지면서 2030년대에는 외국인 비중이 10%를 넘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내수경제에서 외국인이 핵심 주체로 떠오르면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산업도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이다.

28일 이민정책연구원이 국내 체류 외국인이 국내에서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한 금액을 분석한 결과, 2023년 결제액은 56조2818억원으로 집계됐다. 관광객 등의 자국 신용카드 결제는 제외한 결과다. 통계청이 발표한 같은 해 국내 신용카드 사용액(법인 제외) 814조5756억원과 비교하면 6.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수와 이들의 1인당 소비규모가 모두 커지면서 외국인 비중은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이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체류 외국인(단기체류 및 장기거주) 수는 265만명으로 3년 전보다 69만명 늘었다. 이민정책연구원은 외국인 1인당 신용카드 사용액이 2021년 460만원에서 2023년 515만원으로 늘었다고 분석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2030년 국내 신용카드 사용액에서 외국인 비중은 10%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큰손' 된 체류 외국인…외국인 대상 서비스 꿈틀


이처럼 내수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영향력이 커지면서, 외국인 고객만을 대상으로 서비스들도 생겨나고 있다. 언어, 법률, 문화 등이 달라 기존 내국인용 서비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분야에서 외국인을 위한 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가장 발 빠른 곳은 금융권이다. 본국 송금 서비스를 주력으로 시작했지만 최근에는 예·적금, 대출 등으로도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은 한국어 교육, 생활정보 콘텐츠, 커뮤니티 등 비금융 서비스까지 제공하며 외국인 고객유치 경쟁에 나섰다. 업계 관계자는 "환전·송금부터 대출까지 국내 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서비스해 바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분야 중 하나"라고 말했다.

벤처·스타트업도 주거, 채용, 취업 등 생활 필수 영역에서 외국인들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시장을 키워가고 있다. 아직 초기 상태의 기업들이지만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으며 최근 벤처캐피탈(VC)에서 잇달아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스타트업 하이어다이버시티, 엔코위더스 등이 대표적이다. 하이어다이버시티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외국인등록증 발급 등 80여개 행정 서비스를 지원한다. 외국인들이 국내에 와서 가장 먼저 맞닥뜨리는 어려움을 해결한다는 전략이다. 외국인을 선점해 향후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으며 누적 6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엔코위더스는 주거 분야를 공략한다.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중장기 부동산 임대차 계약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현재 매월 300여건의 계약이 엔코위더스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엔코위더스 역시 행정 지원 등 서비스도 병행한다. 누적 2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그밖에 케이비자, 셔틀딜리버리, 위브링, 케이워크파트너스 등도 외국인 대상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명확히 커지는 시장" vs "리텐션 유지는 과제"


국내 체류외국인 수/그래픽=윤선정
국내 체류외국인 수/그래픽=윤선정
업계는 체류 외국인 수가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집계된 체류 외국인 수 265만명은 이미 대구시 인구(238만명)보다도 많은 규모다. 이민정책연구원은 2030년 체류 외국인이 3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한 벤처캐피탈 심사역은 "인구구성의 변화가 실제로 드러나고 있고, 그만큼 시장이 커진다는 것은 명확하다"며 "내수기업 입장에서 외국인은 반드시 잡아야 하는 잠재고객인 만큼, 관련 서비스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한국에 처음 정착하는 외국인 고객들을 유치하고 이들을 서비스 내에 계속 묶어두는 '락인'까지 가능하다면 잠재력은 무궁무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런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도 크다. 또 다른 심사역은 "외국인들도 정착이 시작되면 내국인과 똑같은 서비스를 쓸 가능성이 높다"며 "리텐션(서비스 지속성) 유지가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외국인의 불편함이 지속적되는 부분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사업모델이어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미래산업리포트'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