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 글로벌 벤처투자가 높아진 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4분기 글로벌 벤처투자는 지난 10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AI(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6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가 발간한 '2024년 4분기 벤처캐피탈(VC) 투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연간 글로벌 VC 투자금액은 글로벌 지정학적 갈등, 고금리, 주요국 선거 등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5% 증가한 3683억달러(약 532조4900억원)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글로벌 VC 투자금액은 1086억달러(약 156조97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10분기 만에 최고치다. 10억달러(약 1조4500억원) 이상의 메가딜 8건 중 6건이 AI 모델과 응용 솔루션, 인프라 등 AI 관련 기업에 집중됐다.
지난해 4분기 투자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한 7022건에 그쳤다. VC 투자자들이 안정적 사업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성과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후기 단계 기업을 선호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편, 고금리 지속과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으로 미국 등 기업공개(IPO) 시장이 위축되면서 2024년 글로벌 VC 회수시장은 3184억달러(약 460조2790억원), 2719건으로 부진을 이어갔다. 보고서는 IPO를 통한 회수규모가 줄어든 가운데 인수합병(M&A)이 주요한 투자회수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KPMG는 "미국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대선 관련 변수가 해소되고 주요국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짐에 따라 2025년에는 IPO 시장 회복과 함께 글로벌 VC 시장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4분기 유럽과 아시아 지역의 벤처투자는 감소한 반면 미국에서는 AI 중심으로 벤처투자가 크게 늘었다. △데이터브릭스(100억달러) △오픈AI(66억달러) △xAI(60억달러) △웨이모(56억달러) △앤트로픽(40억달러) 등 메가딜 5건 모두 미국 AI 기업 대상으로 진행됐다.
유럽에서는 유럽연합(EU) 인공지능법 제정 등 규제 강화에도 AI 관련 투자가 이어졌다. △영국의 데이터센터 기업 그린스케일(13억달러) △터키의 AI 마케팅 플랫폼인 인사이더(5억달러) △핀란드의 수면 모니터링용 스마트 반지 개발사 오우라(2억달러) △레이더 위성 이미징 기술 기업 아이스아이(1억6000만달러) 등 AI 인프라 뿐만 아니라 바이오테크, 스페이스테크 등 다양한 산업의 AI 응용 모델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이뤄졌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VC 투자는 지난해 4분기 128억달러(약 18조5000억원, 1977건)로 분기 기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의 VC 투자규모가 지난해 3분기 103억달러(약 14조8800억원)에서 4분기 58억달러(약 8조3800억원)로 급감했다.
인도의 VC 투자규모 역시 지난해 4분기 26억달러(약 3조7600억원)로 위축됐다. 하지만 핀테크 기업 파인랩스와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안경 브랜드 렌즈카트 등 여러 스타트업이 지난 18개월간 IPO를 추진하는 등 올해는 IPO 시장 회복과 VC 투자 확대 가능성이 예상된다.
삼정KPMG 스타트업 지원센터 정도영 파트너는 "올해 1분기에도 AI가 최대 VC 투자 분야로 전망되며, 바이오테크, 로보틱스, 사이버 보안, 디펜스 테크, 자율주행 등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는 AI 솔루션 기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출시는 AI 모델 개발에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다는 기존 인식을 깨트린 사례로, 국내외 스타트업의 AI 개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기업 및 VC의 투자 확대 가능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