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최대 11.5억원의 투자와 21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 제14회 청년기업가대회의 심사위원으로 벤처투자 업계에서 탄탄한 경력을 보유한 총 23명의 심사역이 참여한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 이들 투자자로부터 스타트업 투자 전략을 들어봤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김혜원 케이투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상무/사진제공=본인제14회 청년기업가대회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케이투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김혜원 상무는 성장 단계의 기술 기업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일본계 벤처캐피탈 근무 경력을 바탕으로 미래 수익성이 우수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포트폴리오로는 엔젤로보틱스, 볼트크리에이션, 엔피코어, 가우디오랩 등이 있다. 또한 로봇, 첨단 제조, 디지털 헬스케어 등 국내 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올해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는 벤처투자 분야는?
▶개인적으로는 온프레미스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하이브리드 모델을 갖춘 기업형(B2B) 솔루션에 관심이 많다. 특히 AI(인공지능), 헬스케어 등 기술의 실질적 효용과 수익화 가능성을 동시에 검증할 수 있는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 기업의 원천 기술 경쟁력뿐 아니라 시장 진입 구조, 수익모델, 기존 산업과의 통합 가능성까지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추세다.
벤처투자 시장 전반에서는 AI, 로봇, 헬스케어 등 주요 딥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가 여전히 주목받고 있으며, 현금흐름이 양호한 소비재 및 소부장 기업에 대한 관심도 크다.
-올해 벤처투자 업계의 주요 이슈는?
▶국내에서는 시장 불안정성으로 인해 주요 출자자의 출자 규모가 줄면서 투자 심리 위축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핵심 이슈는 '선택적 투자 강화'와 '수익성 검증'이다. 과거 유동성 과잉 시기와 달리, 이제는 성장 스토리보다 생존 가능성과 현금 흐름 관리 능력이 더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고 있다. 단순히 기술력이나 사용자 수만으로는 투자를 유치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지난해 벤처투자가 크게 위축되었는데, 올해는 회복될까?
▶상반기까지는 회복이 쉽지 않겠지만, 하반기에는 일부 분야를 중심으로 점진적 반등이 기대된다. 다만, 국내 추가 펀드 조성 여부 및 글로벌 시장 방향성 등에 따라 회복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스타트업은 결국 본질에 집중하되, 숫자로 증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핵심 제품의 시장 적합성(PMF)을 명확히 하고 충성 고객 기반의 수익 모델을 빠르게 검증해야 한다. 과도한 확장보다는 리소스에 집중해 재무관리를 바탕으로 실질적 성과를 보여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으로 검증되고 국내외에서 유의미한 파트너십을 선제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팀에게는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