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최대 11.5억원의 투자와 21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 제14회 청년기업가대회의 심사위원으로 벤처투자 업계에서 탄탄한 경력을 보유한 총 23명의 심사역이 참여한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 이들 투자자로부터 스타트업 투자 전략을 들어봤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제14회 청년기업가대회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스톰벤처스 김민주 이사는 AI(인공지능) 기반 B2B(기업 간 거래) 소프트웨어 영역에 집중해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스톰의 B2B 소프트웨어 전문성과 GTM(Go To Market, 시장 진출 최적화) 방법론을 통해 투자 기업들의 성장을 돕고 있다. 주요 투자 포트폴리오는 AB180, 스펙터, 클라썸 등이 있다.
-올해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는 벤처투자 분야는? ▶올해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투자 분야는 AI 영역이다. 특히, AI 스택의 최상단에 위치한 AI 애플리케이션 분야에 집중하여 투자할 계획이다. AI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접점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는 중요한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문제 해결과 효율성 개선을 목표로 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발굴하고자 한다.
-올해 벤처투자 업계의 주요 이슈는? ▶올해 벤처투자 업계의 주요 이슈는 여전히 거시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과 투자 심리의 위축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AI 영역에서는 빠르게 혁신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AI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AI 솔루션들이 실질적인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며 성장할 기회를 만들어갈 것이다. 그 기회를 잘 포착하는 회사들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지난해 벤처투자가 크게 위축되었는데, 올해는 회복될까? ▶전반적인 시장 위축은 올해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AI 중심의 투자는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스타트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도 AI 활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시장 적응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효율적인 자금 운용과 명확한 가치 제안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