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OTT(온라인동영상플랫폼) 왓챠가 콘텐츠 평가 플랫폼 '왓챠피디아'의 MAU(월간 활성화 사용자수) 400만명을 넘었다고 7일 밝혔다.
왓챠는 지난해 말 왓챠피디아의 홈 화면 개편을 통해 매거진, 핫랭킹, 지뜨코(지금 뜨는 코멘트) 등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양질의 코멘트 등 감상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성을 개선한 점이 MAU 확대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왓챠피디아는 사용자 개인의 취향 데이터를 AI(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예상 별점을 제공하는 점이 강점이다. 이용자가 과거에 평가한 작품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콘텐츠에 대한 예상 별점을 산출하며, 이를 통해 이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작품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왓챠피디아의 콘텐츠 평가 수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누적 평가 콘텐츠 수는 총 7억3000여건에 달한다. 왓챠 관계자는 "추천 정확도 향상, 콘텐츠 평가 수, 등록 콘텐츠 수 확대가 MAU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했다.
이어 "왓챠피디아는 '취향의 발견'이라는 슬로건 하에 예상 별점 알고리즘 개선, 구작·신작 데이터의 정교한 업데이트 등을 통해 사용성을 높였다. 이용자들이 콘텐츠 홍수 속에서 왓챠피디아를 우선 접속해 콘텐츠 정보를 탐색하는 비중이 더욱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OTT(온라인동영상플랫폼) 왓챠가 콘텐츠 평가 플랫폼 '왓챠피디아'의 MAU(월간 활성화 사용자수) 400만명을 넘었다고 7일 밝혔다.
왓챠는 지난해 말 왓챠피디아의 홈 화면 개편을 통해 매거진, 핫랭킹, 지뜨코(지금 뜨는 코멘트) 등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양질의 코멘트 등 감상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성을 개선한 점이 MAU 확대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왓챠피디아는 사용자 개인의 취향 데이터를 AI(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예상 별점을 제공하는 점이 강점이다. 이용자가 과거에 평가한 작품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콘텐츠에 대한 예상 별점을 산출하며, 이를 통해 이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작품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왓챠피디아의 콘텐츠 평가 수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누적 평가 콘텐츠 수는 총 7억3000여건에 달한다. 왓챠 관계자는 "추천 정확도 향상, 콘텐츠 평가 수, 등록 콘텐츠 수 확대가 MAU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했다.
이어 "왓챠피디아는 '취향의 발견'이라는 슬로건 하에 예상 별점 알고리즘 개선, 구작·신작 데이터의 정교한 업데이트 등을 통해 사용성을 높였다. 이용자들이 콘텐츠 홍수 속에서 왓챠피디아를 우선 접속해 콘텐츠 정보를 탐색하는 비중이 더욱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왓챠
- 사업분야엔터∙라이프스타일
- 활용기술인공지능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왓챠'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왓챠 '블라인드 시사회'…"예상 별점 찍고 먼저 본다"
- 기사 이미지 왓챠, 3분기 손익분기점 달성…"수익성 강화 BM 효과 '톡톡'"
- 기사 이미지 1분 내외 세로형 드라마 본다…왓챠, 숏드라마 플랫폼 '숏챠' 출시
관련기사
- "지역 대학간 협력교육 효과적 추진"…울산대, 차세대 LMS 구축
- 지드래곤 컴백, 팬 커뮤니티 '여기'에 열었다…"양질의 소통 확대"
- 3초만에 반려동물 질환 분석 '라이펫', 삼성 C랩 아웃사이드 선정
- 수면무호흡증 진단 돕는 '앱노트랙', 일선 병원서 처방 개시
- 헌옷 방문수거해 보상주는 '리클', 중기부 스케일업 팁스 선정
- 기자 사진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