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은 복잡미묘한 관계지만 경제적으로 밀접하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한국이 추격형 경제성장 모델로 상당기간 일본 경제의 뒤를 좇았다는 점, 양국 모두 제조강국으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다는 점, 반도체·디스플레이·모바일 등에서 한국이 일본을 앞선 이후에도 소재, 부품, 장비 등 산업적 연관성은 줄어들지 않았다는 점 등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스타트업 생태계와 디지털경제 영역에서 두 나라는 경쟁도 협력도 의외로 부족했다. 소프트뱅크가 쿠팡, 야놀자를 포함한 한국 스타트업에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가는 것과 일본의 국민 메신저 라인과 웹툰 시장을 한국 기업이 만든 것처럼 인상적인 대목이 있지만 서로의 관심에 비해 성과가 크다고 할 순 없다. 우리 스타트업들은 꾸준히 일본 시장에 진출했지만 성공사례는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스타트업분야에서 두 나라의 적극적인 협력 분위기가 조성된다. 지난해 한일 정상의 만남에서 스타트업분야 협력을 약속한 후 공동펀드를 만드는 것을 정부간 협의 중이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5월 '코리아스타트업센터'를 일본 도쿄에 개소할 예정이다. 민간에서도 교류가 확대된다. 두 나라의 최대 경제단체인 한국경제인협회와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 스타트업 공동기금 조성을 약속하고 이달에 도쿄에서 '한일 스타트업 협력포럼'을 공동개최했다. 이 자리에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을 포함해 일본에 진출한 스타트업이 대거 참여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교류와 협력프로그램이 확대된다.
이렇게 뜨거운 분위기가 된 이유는 정부간 관계가 가까워진 것도 있지만 가장 크게는 일본이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에 진심이 됐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2022년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2027년까지 스타트업 투자를 10배 이상 확대해 스타트업 10만개사와 유니콘 100개사를 만들고 아시아 최대 스타트업 허브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사실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는 꾸준히 성장했지만 경제규모에 비해 성과는 적었다. 지난해 약 8조원의 스타트업 투자가 이뤄졌는데 우리나라의 12조원과 차이가 있고 일본 경제규모가 국내총생산 기준으로 우리의 2.5배인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유니콘 역시 13개사로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이다.
이는 역설적으로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잠재력이 크다고 할 수 있고 우리 스타트업에는 큰 기회가 될 수 있다. 일본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은 스타트업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충분한 여력이 있고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스타트업 육성과 투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 특히 코로나19 시기에 일본 기업과 사회의 보수적 문화로 디지털 전환(DX)이 늦어진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스타트업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 커졌다고 한다. 디지털 전환이 가장 빠른 우리나라와 달리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 점은 스타트업엔 장점이다.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의 특징으로 소비자 대상(B2C) 스타트업 위주인 우리와 달리 기업간 거래(B2B) 스타트업이 다양하게 성장하는 점을 들기도 한다. 혁신할 대상이 많다는 것은 스타트업엔 기회일 수밖에 없다.
차이점이 아닌 공통점도 또 다른 기회요인이다. 초고령화와 지방소멸같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이 비슷하다는 점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이 더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우리 스타트업 생태계가 일본보다 조금 더 빨리 성장하지만 글로벌 선도국가 기준으론 두 나라 모두 도전자 입장이기 때문에 대등한 관계에서 협력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일본은 스타트업 생태계의 빠른 성장을 위해 한국을 필요로 하고 우리 또한 시장과 생태계의 파이를 키울 수 있는 기회다. 스타트업이 일본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하지만 스타트업 생태계와 디지털경제 영역에서 두 나라는 경쟁도 협력도 의외로 부족했다. 소프트뱅크가 쿠팡, 야놀자를 포함한 한국 스타트업에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가는 것과 일본의 국민 메신저 라인과 웹툰 시장을 한국 기업이 만든 것처럼 인상적인 대목이 있지만 서로의 관심에 비해 성과가 크다고 할 순 없다. 우리 스타트업들은 꾸준히 일본 시장에 진출했지만 성공사례는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스타트업분야에서 두 나라의 적극적인 협력 분위기가 조성된다. 지난해 한일 정상의 만남에서 스타트업분야 협력을 약속한 후 공동펀드를 만드는 것을 정부간 협의 중이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5월 '코리아스타트업센터'를 일본 도쿄에 개소할 예정이다. 민간에서도 교류가 확대된다. 두 나라의 최대 경제단체인 한국경제인협회와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 스타트업 공동기금 조성을 약속하고 이달에 도쿄에서 '한일 스타트업 협력포럼'을 공동개최했다. 이 자리에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을 포함해 일본에 진출한 스타트업이 대거 참여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교류와 협력프로그램이 확대된다.
이렇게 뜨거운 분위기가 된 이유는 정부간 관계가 가까워진 것도 있지만 가장 크게는 일본이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에 진심이 됐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2022년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2027년까지 스타트업 투자를 10배 이상 확대해 스타트업 10만개사와 유니콘 100개사를 만들고 아시아 최대 스타트업 허브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사실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는 꾸준히 성장했지만 경제규모에 비해 성과는 적었다. 지난해 약 8조원의 스타트업 투자가 이뤄졌는데 우리나라의 12조원과 차이가 있고 일본 경제규모가 국내총생산 기준으로 우리의 2.5배인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유니콘 역시 13개사로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이다.
이는 역설적으로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잠재력이 크다고 할 수 있고 우리 스타트업에는 큰 기회가 될 수 있다. 일본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은 스타트업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충분한 여력이 있고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스타트업 육성과 투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 특히 코로나19 시기에 일본 기업과 사회의 보수적 문화로 디지털 전환(DX)이 늦어진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스타트업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 커졌다고 한다. 디지털 전환이 가장 빠른 우리나라와 달리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 점은 스타트업엔 장점이다.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의 특징으로 소비자 대상(B2C) 스타트업 위주인 우리와 달리 기업간 거래(B2B) 스타트업이 다양하게 성장하는 점을 들기도 한다. 혁신할 대상이 많다는 것은 스타트업엔 기회일 수밖에 없다.
차이점이 아닌 공통점도 또 다른 기회요인이다. 초고령화와 지방소멸같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이 비슷하다는 점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이 더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우리 스타트업 생태계가 일본보다 조금 더 빨리 성장하지만 글로벌 선도국가 기준으론 두 나라 모두 도전자 입장이기 때문에 대등한 관계에서 협력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일본은 스타트업 생태계의 빠른 성장을 위해 한국을 필요로 하고 우리 또한 시장과 생태계의 파이를 키울 수 있는 기회다. 스타트업이 일본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최성진' 기업 주요 기사
- 기자 사진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