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반도체 스타트업의 도전, 계란으로 바위치기 ?

고석용 기자 기사 입력 2024.03.10 19: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천문학적인 '쩐의 전쟁'이 펼쳐지면서 국내 AI반도체 스타트업들에게는 회의적인 시각이 고개를 드는 모습이다. 이미 기술장벽이 높은데 수천조원의 투자금까지 더해지면 우리 스타트업들에 승산이 있겠냐는 회의론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기술과 자본의 격차는 크다. 일단 시장을 90% 이상 점유한 엔비디아의 벽이 워낙 높다. 인텔이나 AMD같은 난다긴다 하는 반도체 기업들도 엔비디아의 아성을 깨뜨리지 못하고 있다. 기업이 투자받은 자금 역시 수십조원이 오고가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비하면 그야말로 조족지혈이다.

그러나 반도체 시장은 단순하지 않다. 엔비디아 반도체가 사용되는 시장은 무수히 많다. 데이터센터용 반도체부터 로봇·가전용 반도체까지 수많은 분야에서 반도체를 개발하고, 분야별 세부 제품도 수십가지가 넘는다. 고객의 필요에 맞춰 성능을 극대화하거나 범용성을 높이는 등 스펙을 다양화하하는 방식이다. 어떤 분야든 컴퓨터를 열어보면 일단 엔비디아 칩이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반도체 스타트업들은 그 수많은 시장 중 특정 시장 하나를 공략한다. 예컨대 데이터센터에서도 AI를 처리하는 분야, 그중에서도 언어모델 분야나 AI의 추론에 필요한 반도체만 집중하는 방식이다. 엔비디아의 최고급 칩 H100과 비교하면 부족하겠지만 어차피 그 반도체가 사용되던 시장이 아니다. 특정 시장에서 현재 사용되는 엔비디아 반도체보다 뛰어난 가격·성능을 내면 승산이 있다는 것이다.

국내 스타트업들은 나름대로 결실도 내고 있다. 글로벌 데이터센터 운용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로봇·가전 등 제조사들도 국내 스타트업과 제품 실증을 진행했다. 성능이든, 가격이든 엔비디아 반도체보다 장점이 있다는 평가에서다. 개발비용으로 수백억원의 적자를 낼지언정 신규 개발도 멈추지 않는다.

엔비디아가 설립된 1993년만 해도 반도체 시장은 인텔 천하였다. 엔비디아는 인텔이 독점한 컴퓨터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 그래픽 처리라는 특정 시장을 겨냥해 성장했다. 엔비디아의 신화가 언제 어디서 다시 반복될지 모른다. 반도체 수요기업들과 투자자들이 신뢰를 더하고 정부가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면 그 시기와 공간이 2024년 대한민국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AI반도체'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