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머스크가 만든 AI '그록3', 챗GPT에 도전장…AI 3파전 개막

김소연 기자 기사 입력 2025.02.17 15:17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사진=뉴스1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사진=뉴스1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가 만든 생성형 AI(인공지능) 그록(Grok)3가 베일을 벗는다. 그가 X(옛 트위터)를 통해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고 극찬한 만큼 그록3가 어떤 성능을 보일지에 전 세계 관심이 쏠린다.

16일(현지시각) 일론 머스크 CEO는 X를 통해 자신의 AI 기업인 xAI가 최신 AI 챗봇 모델인 '그록3'를 미국 서부시간으로 17일 오후 8시(한국 시간 18일 오후 1시) 공개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AI"라고 평가했다.

'그록3'는 문화적 맥락까지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돼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또 SNS(소셜미디어)인 X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학습해 최신 트렌드에 빠르다. 기존 AI들이 최신 뉴스를 파악하지 못하는 '학습 데이터시점 한계(Knowledge Cutoff)'가 있었던 것보다 진일보했다. 특히 '선 넘는 모드(Unhinged Mode)'를 탑재, 풍자적이고 유머러스한 답변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외신과 전문가들에 따르면 그록3는 10만개의 H100 GPU를 사용해 2억 시간을 학습해 앞선 그록2보다 10배 많은 컴퓨팅 과정을 거쳤다. 딥시크 V3의 270만 시간을 압도하는 규모다. 또 딥시크가 챗GPT 등 기존 AI의 딥러닝 결과를 토대로 학습한 것과 달리, 그록3는 합성데이터에 의존하고,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체 수정 메커니즘을 적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멀티모달 기능(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받아들여 통합 처리)도 강화했다.
AI와 일론 머스크를 합성한 이미지/사진=그록3 홈페이지
AI와 일론 머스크를 합성한 이미지/사진=그록3 홈페이지
일론 머스크의 '그록3'가 AI 최강자인 오픈AI의 '챗GPT' 대항마가 될지 전 세계가 관심을 보인다. 중국발 '딥시크 쇼크'이후 가열된 미중 간 AI 패권 경쟁이 미국 내 원조 경쟁으로 옮겨간 셈이어서다.

일론 머스크는 2015년 오픈AI 공동 설립자였다. 그러나 샘 알트먼 오픈AI CEO와 MS 등이 AI를 영리적으로 이용하려는데 반발해 2018년 이사직을 내려놓고 지분까지 처분한 뒤, xAI를 설립해 독자 노선을 걸어왔다.

머스크와 xAI가 개방형 AI를 표방하는 만큼, '그록3' 역시 상업적 사용과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한 오픈소스로 제공될 전망이다. 앞서 중국의 개방형 AI '딥시크'는 초저비용에 '챗GPT'의 추론 능력을 뛰어 넘는 고성능으로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중국 서버에 저장해 보안 문제가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번에 '그록3'가 '챗GPT'를 뛰어넘는 고사양을 자랑하면서 오픈소스를 표방하면, AI의 상업적 사용을 추구해온 오픈AI와 챗GPT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

이에 오픈AI가 달라질 조짐도 보인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수주내 챗GPT의 최신 버전인 GPT-4.5를 출시하고 수개월 내 AI 통합모델인 챗GPT-5 버전을 선보인다는 계획을 밝혔다. 최신 모델 출시 이후 기존 모델들은 무료화할 가능성이 있다.

올트먼은 지난달 31일(현지 시각) 있었던 레딧 '뭐든지 물어봐(AMA)' 행사에서 "우리가 (오픈소스와 관련해)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으며 다른 오픈소스 전략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론머스크' 기업 주요 기사

  • 기자 사진 김소연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