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글로벌 창업도시로 가는 길④]
[편집자주] 1998년 벤처기업육성특별법 도입 후 국내 창업생태계는 빠르게 성장했지만 질적인 면에선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가 많다. 수도권 쏠림은 심화하고, 글로벌화는 더디기만 하다. 전문가들은 창업이 경제를 이끄는 동력으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창업생태계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져야 할 때라고 지적한다. 국가 차원을 넘어 지역 단위 맞춤형 창업생태계를 구축, '글로벌 창업도시'를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유니콘팩토리가 다각도로 짚어본다.
![](https://thumb.mt.co.kr/06/2025/02/2025021018422371164_1.jpg/dims/optimize/?1739444415)
13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국내에서 기술창업비자(D-8-4), 스타트업특별비자(D-8-4S)를 받아 체류 중인 외국인의 수는 174명을 기록했다. 법인 창업자에게만 부여되는 비자로, 국내 외국인 창업기업이 174개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국내 스타트업(업력 10년 이하 벤처확인기업) 2만2286개의 0.7% 수준이다.
비수도권의 경우 외국인 창업자를 찾아보긴 더 어렵다. 창업한 외국인 174명 중 비수도권 거주자는 22명(12.7%)으로, 152명(87.3%)가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했다. 그마저도 △부산 7명 △대구 4명 △경남 3명 △대전 2명을 제외한 10개 광역자치단체에는 외국인 창업자가 1명 있거나 아예 없었다. 창업자의 거주지 기반 통계지만, 이들이 거주지 인근에 창업한단 점을 감안하면 외국인 창업기업의 소재지도 비슷할 것으로 풀이된다.
외국인 창업은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투자유치나 해외 진출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외국인 창업자들이 새로운 기술·아이디어를 가져와 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이들을 기반으로 해외자본도 국내에 유입될 수 있어서다. 이런 환경은 다시 국내 스타트업들의 해외 진출 등 선순환으로 이어진다. 외국인 창업이 저조한 비수도권에선 국내 스타트업들의 글로벌 진출 기회도 낮아진다는 의미다.
업계에선 당장 외국인들이 비수도권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한다. 대표적인 이유가 언어장벽, 커뮤니티 부족 등이다. 한 외국인 창업 지원사업 관계자는 "서울만 해도 영어로 왠만한 생활이 가능하지만 지방에서는 영어만으론 생활이 어렵다"며 "하다못해 집이나 사무실을 구하는 문제부터 난관에 빠진다"고 말했다. 이어 "창업도 사람이 하는 문제인데 홀로 지방에서 창업했다간 창업자가 고립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문제는 지방자치단체나 지역 창업지원기관의 의지로 극복할 수 있다고도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당장 지역을 영어도시로 만들 수는 없다"며 "그러나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지역 창업지원기관들이 외국인 창업자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정주 등을 지원할 순 있다. 관심과 의지의 문제"라고 말했다.
K-스카우터 사업 운영사인 액셀러레이터 벤처포트의 박완성 대표는 "일단 지자체가 외국인 창업자 유치에 관심이 있으면 외국인들을 만나보는 게 먼저"라고 말했다. 외국인 창업자들의 언어 능력은 물론 산업분야, 사업화 단계 등이 모두 제각각인 만큼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도 다양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AC 관계자도 "정주여건도 중요하지만 지역 기업 및 공공기관과의 오픈이노베이션 등만 가능하다면 지역을 선택하는 외국인 창업자도 많을 것"이라며 "단순한 자금지원 형태가 아닌 이들이 실제로 사업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 기자 사진 고석용 기자 gohsyng@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