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보다 3배 정확"…오픈AI, 심층 추론 '딥리서치' 깜짝 공개

김하늬 기자 기사 입력 2025.02.03 16:22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챗GPT(Chat GPT)를 만든 오픈AI가 3일 새로운 심층 추론모델 '딥 리서치(Deep Research)'를 출시했다. 샘 올트먼 CEO(최고경영자)가 일본을 방문하던 도중 회사가 생중계로 깜짝 발표하는 방식으로 공개한 것. 최근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을 의식한 듯 오픈AI는 딥리서치가 가장 어려운 AI 성능 평가에서 딥시크의 추론모델 R1 대비 3배 높은 정확도를 자랑한다고 홍보했다.

오픈AI의 CEO인 샘 알트먼이 2024년 1월 18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제54회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에 참석한 모습/로이터=뉴스1
오픈AI의 CEO인 샘 알트먼이 2024년 1월 18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제54회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에 참석한 모습/로이터=뉴스1
오픈AI는 이날 올트먼 CEO가 일본 도쿄 일정을 이어가던 중 온라인 생중계 발표로 "새로운 AI 에이전트 딥리서치를 챗GPT에 탑재했다"고 밝혔다. 오픈AI의 추론 모델 'o3'에 인터넷 검색 기능을 더한 모델이다.

오픈AI는 "챗GPT가 수백 개 온라인 소스를 찾아 분석, 종합해 연구자 수준의 포괄적인 보고서를 만든다"며 "사람이 수 시간을 들여 해야 하는 작업을 수십 분 만에 완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딥리서치는 마치 연구원처럼 심층 답변과 보고서, 표·그래프 등 시각물 제작과 인터넷 심층 조사에 따른 인용자료 출처 표기까지 가능한 서비스"라며 "사용자를 대신해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오픈AI의 차세대 에이전트"라고 소개했다. 딥리서치는 시간을 충분히 들여 필요한 답변을 제공하도록 했다. 오픈AI는 딥리서치 작업당 5~30분가량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이날 오픈AI는 똑같은 질문을 받은 '딥리서치'와 기존 모델인 '챗GPT-4o'가 낸 답변을 각각 공개하며 사용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질문은 △전세계 모바일 시장 분석(비즈니스)△키워드로 TV드라마 찾기(건초 속 바늘찾기) △논문 분석(의학)△완벽한 스노보드 찾기(쇼핑) △스포츠선수 평균 수명(일반지식)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했다.

2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소프트뱅크 그룹의 회장 겸 CEO인 손정의(왼쪽서 2번째, 오라클의 공동 CEO인 래리 앨리슨(3번째), 오픈 AI의 CEO인 샘 알트먼(오른쪽)과 함께 연설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2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소프트뱅크 그룹의 회장 겸 CEO인 손정의(왼쪽서 2번째, 오라클의 공동 CEO인 래리 앨리슨(3번째), 오픈 AI의 CEO인 샘 알트먼(오른쪽)과 함께 연설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오픈AI는 "모든 출력은 명확한 인용문과 사고 요약과 함께 완벽하게 문서화돼 정보를 참조하고 검증하기 쉽다"며 "여러 웹사이트를 탐색해야 하는 틈새 시장의 비직관적인 정보를 찾는 데 효과적"이라고 했다.

특히 딥리서치 기능은 AI 모델의 가장 까다로운 벤치마크(성능실험)로 평가받는 스케일AI의 '인류의 마지막 시험' 벤치마크에서 26.6%의 정확도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진다. GPT-4o가 3.3%, 추론 모델인 오픈AI o1과 딥시크 R1이 각각 9.1%와 9.4%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기능이 크게 향상된 것. 오픈AI는 "오픈AI o1과 비교했을 때 딥리서치가 화학, 인문학과 사회과학, 수학에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고 부연했다.

딥리서치 기능은 월 200달러 요금제인 챗GPT 프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날부터 서비스된다. 월 최대 질문 한도는 100개다. 이후 플러스 및 비즈니스 사용자로 서비스 대상을 확대한다. 오픈AI는 "딥리서치는 매우 컴퓨팅 집약적으로 많은 연산 자원이 필요하다"며 "더 작은 모델로 고품질의 결과를 제공하는 더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버전을 출시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했다.

한편 샘 올트먼 CEO는 도쿄에서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함께 일본판 AI 인프라 구축계획을 발표한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따르면 두 사람은 일본 AI스타트업 500개사를 참여시킬 계획이다.

'오픈AI' 기업 주요 기사

  • 기자 사진 김하늬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