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듀테크 스타트업 슬링과 비상교육 (5,500원 ▲370 +7.21%)이 수능 기출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두고 표절 논쟁을 벌이고 있다. 슬링은 비상교육이 출시한 '기술탭탭'이 자사의 서비스 '오르조'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했다며 법적 조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오르조는 슬링이 2020년 11월 출시한 태블릿 전용 수능공부 어플리케이션이다. 누적 다운로드 건수는 20만건이 넘는다. 비상교육은 지난해 12월 기출문제 분석 서비스 '기출탭탭'을 출시했다. 슬링은 기술탭탭의 UI 배치, 문제풀이 화면 분할과 분할 화면 크기를 조절하는 '2분할 동적디자인' 기능 등이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비상교육은 "오르조의 2분할 동적디자인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고유특성인 멀티테스킹 측면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당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자인"이라고 반박했다.

9일 슬링은 공식 입장문을 통해 "비상교육이 지적재산권 침해를 인정하지 않고 사실이 아닌 내용으로 문제의 본질을 왜곡하고 있다"고 밝혔다.
슬링은 "2분할 동적디자인은 오르조 출시 당시에 없었던 기능으로 지문과 문제가 붙은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었는데, 학생들로부터 불편하다는 피드백을 받고 수개월 개발 끝에 현재의 분할 화면 디자인을 론칭했다"고 말했다.
해당 디자인권은 2022년 2월 3일 특허청에 출원해 10월 12일 특허청에 등록됐다. 슬링은 "특허청의 디자인 등록 요건은 △신규성 △창작성 △공업상 이용 가능성"이라며 "슬링의 해당 디자인이 등록된 것은 이 모든 요건을 특허청으로부터 인정받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법적 대응도 예고했다. 슬링은 "자사가 보유한 지적재산권을 근거 없이 가치 절하하며 침해를 인정하지 않고 사실과는 먼 내용을 기반으로한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비상교육에 필요한 법적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타트업과 기업 간 카피캣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최근 롯데헬스케어가 알고케어가 개발한 맞춤형 영양제 디스펜서를 따라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중소벤처기업부가 곧바로 기술침해 행정조사에 나선 바 있다. 6일 공정거래위원회도 롯데지주와 롯데헬스케어 본사에 조사관을 파견해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슬링
- 사업분야교육
- 활용기술인공지능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슬링'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중·고딩 태블릿 학습앱 '오르조', 코트라 지원 받아 북미 진출한다
- 기사 이미지 중고딩 40만명 '오르조'로 공부…1년만에 매출 5배 뛴 에듀테크 기업
- 기사 이미지 태블릿 학습앱 '오르조', 공무원시험 시장 진출…기출문제 2만개 푼다
관련기사
- "투자만큼 중요한 회수...전담조직 신설, 리스크 선제 대응"
- '아르떼뮤지엄' 디스트릭트, IMM인베서 1000억 투자유치
- 밥 먹기 무섭다…서울 직장인 평균 점심값 1.2만원
- '서울거래 비상장', STO 총괄책임자로 추효현 CBO 선임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 주관기관 선정
- 기자 사진 남미래 기자 future@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