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울 시내에 세워져 있는 개인형이동장치 모습 /사진=뉴스1전동 킥보드 등 퍼스널모빌리티(PM) 사고에 있어서 속도보다는 '통행량'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일괄적인 속도 규제보다 이용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안전관리가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한국PM산업협회가 한국교통안전공단·충북대와 함께 발표한 '2024년 데이터 기반 PM 안전관리체계 마련 연구'에 따르면 통행량과 혼잡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사고 발생률이 높았고, 통행량이 많고 혼잡도가 높은 지역은 속도와 상관없이 사고가 더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청주시와 천안시의 전체 대상 지역을 100미터 x 100미터 격자로 나눠 각 격자별 고유 통행량과 평균 통행속도를 계산했다.
격자별 고유 통행량 기준 통행량이 상위 15%인 격자는 총 1622개, 이 중 3년간 한 번이라도 사고 발생 이력이 있는 격자는 171개로 나타났다. 비율은 10.54%다.
반면 고유 통행량이 적은 격자 9191개에서 3년간 사고 발생 이력이 있는 건수는 158건, 비율은 1.72%로 조사됐다. 고유 통행량이 높은 상위 15%인 격자 내에서 발생한 사고 비율은 고유 통행량이 낮은 하위 격자와 비교해 무려 7배 높았다.
특히 평균속도가 높은 격자의 사고율은 1.56%에 불과했지만, 느린 지역에서는 3.35%로 나타났다. PM 속도 제한이 사고 원인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이라는 인식과 달리, 혼잡도와 밀집도를 개선하는 것이 사고 예방을 위해 더 주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가 진행된 지역의 평균 주행속도는 15.90~20.13km/h로, 이용자들의 대부분이 20km/h 이하로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행속도보다는 통행량 증가에 따른 급가속, 급감속 등 주행행태가 사고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박판열 한국PM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PM은 도시 내 단거리 이동을 책임지는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구조 개선, 보행자와의 공간 분리, 이용자 교육 등 정확하고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일률적인 속도 제한보다는 사고 다발지역에 대한 환경 개선과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 설계로 방향을 바꿔 정밀하게 관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대책"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