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숨통' 트이나…벤처업계 "종투사 모험자본 의무화 환영"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종합금융투자회사 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4.09. yesphoto@newsis.com /사진=홍효식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종합금융투자회사 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4.09. yesphoto@newsis.com /사진=홍효식
벤처투자 업계는 9일 금융당국의 종합투자회사(이하 종투사) 모험자본 투자 의무화 등 기업금융 개선 방침을 환영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취재를 종합하면 VC업계는 이날 조치로 비록 제한적이라도 투자자금에 숨통이 트일 것이란 기대를 드러냈다. 그동안 증권사가 비교적 장기투자인 벤처펀드 출자보다는 단기적인 투자에 집중해왔다며 이 점을 개선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기류다. 모험자본이 보다 직접적으로 스타트업으로 향할 수 있게 유도하는 등 남은 과제도 있는 걸로 지적됐다.

김학균 벤처캐피탈협회장은 "종투사 조달자금의 모험자본 확대는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모험자본에 코스닥기업, P-CBO(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 등이 포함돼 있긴 하지만 양적인 측면에서 (투자규모가) 늘어난다는 것은 환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운용사들이 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이 잘 짜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벤처업계 협·단체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시장이 침체됐다"며 "모험자본 쪽으로 자금 유입이 확대된다면 원론적으로 환영할 일"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코스닥 시장 자금 유입을 통한 회수시장 활성화로 벤처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평가다.

단 스타트업 업계에 직접적인 투자가 확대될지 미지수라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중소기업·스타트업 쪽으로 돈이 돌아야 한다는 문제의식 때문이다. 투자의무화 대상이 구체적으로 열거되지 않으면 초기 벤처 생태계보다 코스닥 기업 등으로 자금이 흐를 가능성이 있다.

한 VC 관계자는 "종투사의 모험자본 투입 확대 근거가 생겼다는 측면에서 환영"이라며 "종투사가 매칭 출자를 해야 할 연기금과 공제회 등 주요 기관 LP들의 출자사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종합투자회사 발행어음 운용규제 개선안/그래픽=이지혜
종합투자회사 발행어음 운용규제 개선안/그래픽=이지혜
한편 금융권 위험가중자산(RWA)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비상장사에 투자하는 PEF(사모펀드) 출자의 경우 RWA 가중치를 400%로 반영, 은행이 벤처투자를 늘릴수록 자기자본비율 산정에 불리해진다.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금융지주 계열이 대부분이므로 RWA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다.

업계에서는 건전성 확보를 위해 RWA를 낮출 수 없다면 최소한 스타트업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병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 벤처업계 관계자는 "모험자본의 스타트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후속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방안'을 공개하고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종합투자회사(이하 종투사)는 앞으로 발행어음 조달자금의 25%를 국내 모험자본에 의무적으로 공급하도록 했다.

모험자본은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자금공급과 주식투자 △A등급 이하 채무증권 △P-CBO(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 △상생결제 및 VC(벤처캐피탈)·신기사(신기술사업금융사)·하이일드펀드(신용도 낮은 기업이 발행한 고수익 고위험 채권 투자 펀드) 등이다.

또 종투사의 부동산 관련 자산운용 한도는 현행 30%에서 2027년 10%로 점진적으로 낮추도록 했다. 금융위는 이달부터 제도 개선에 나선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