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 재판매' 티켓베이, 거래액 1000억 넘었다…매출 2배 '껑충'

김건우 기자 기사 입력 2025.04.05 13: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내 최대 티켓 재판매 사이트 티켓베이가 지난해 매출액 100억원을 돌파했다.

5일 티켓베이를 운영 중인 팀플러스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매출액은 104억1800만원으로 전년 대비112.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5억5900만원으로 같은기간 119.1% 늘었다.

팀플러스는 2018년 3월 설립된 뒤 티켓 재판매 사이트 티켓베이를 운영하고 있다. 티켓베이는 콘서트, 스포츠 경기, 뮤지컬, 연극 티켓과 모바일 상품권 재판매를 하고 있다. 주주는 한혜진 대표가 51.04%, 권범순씨가 5.83% 네이버의 자회사인 크림이 43.13%를 보유하고 있다. 크림은 2023년 3월 43억7300만원을 투자해 보통주와 전환우선주를 인수했다.

티켓베이의 주요 매출원은 티켓 및 모바일 상품권 재판매 수수료로, 판매대금의 10%를 수수료로 받는다. 에스크로(결제 대금 예치) 시스템을 도입해 2차 티켓 구매자가 공연을 본 뒤 거래를 확정하면 판매자에게 대금이 지급된다. 다만 정가 또는 정가 이하의 티켓 판매는 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다.

이 같은 구조를 고려하면 지난해 티켓베이의 거래액은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정가 이하 티켓, 모바일 상품권 판매까지 반영하면 실제 거래액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

팀플러스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거래액 비중은 기프티콘 판매 등 B2C(기업과소비자간거래) 상품 49%, 스포츠 경기 34%, 콘서트 10%, 기타 5%, 뮤지컬과 연극이 2%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최대 수십배로 치솟는 인기 가수의 콘서트 티켓이 화제가 되는 것과 달리 실제 거래액 가운데 콘서트, 뮤지컬의 비중이 낮은 셈이다.

콘서트와 뮤지컬의 티켓 재판매 비중이 높지 않은 이유에 대해 팀플럭스 관계자는 "국내에서 한 해 매진되는 콘서트는 인기 아이돌, 대형가수, 해외 아티스트 등 10~20%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뮤지컬과 연극은 수개월간 장기 공연을 진행하기에 특정 배우가 출연하는 일부 회차만 매진된다"고 말했다.

이어 "인기 공연이라 해도 대다수가 원하는 건 중앙 앞열, 1열과 같은 특정 좌석이고, 이런 좌석은 수량이 제한적이다"며 "티켓 수 자체가 적기때문에 거래당 가격이 높은 경우가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현재(4일 기준) 티켓베이의 가장 인기 티켓은 프로야구(KBO) 리그다. 상위 10개 인기 티켓 가운데 8개가 야구 경기다. 인기 1위 티켓은 4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리는 KIA 타이거즈와 LG 트윈스 경기다. 정가 9만원인 테라존(프리미엄석)이 25만원에 매물로 올라와 있다.

예매 대란으로 화제가 된 영국 록그룹 콜드플레이의 내한공연은 정기 이하에도 매물이 나와있다. 8년만에 내한하는 콜드플레이 오는 4월 16일부터 24일까지 총 5회 공연을 할 예정이다.

팀플러스는 많은 사람들이 티켓을 판매하고 싶어하지만 실제로는 합리적인 가격에 등록된 티켓만 거래가 성사된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많은 고가 티켓 등록은 판매자의 기대일 뿐, 시장 실거래 가격과는 다른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티켓베이는 올해 글로벌 서비스와 판매 상품 다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한국 문화 체험 및 여행을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티켓베이는 현재 일부 장르에 집중되어 있지만 더 다양한 티켓들이 거래될 수 있도록 서비스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며 "더 많은 사람들이 즐겁고 행복한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