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라리스AI파마, 비네이처바이오랩과 맞손…HME 기술 상업화나서

박기영 기자 기사 입력 2025.02.14 09: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김영관 폴라리스AI파마 대표(왼쪽)와 백종섭 비네이처바이오랩 대표가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폴라리스AI파마
김영관 폴라리스AI파마 대표(왼쪽)와 백종섭 비네이처바이오랩 대표가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폴라리스AI파마
폴라리스AI파마 (5,580원 ▲60 +1.09%)비네이처바이오랩이 고온 용융 압출-장기 지속형 약물 전달 시스템(HME-DDS) 기술을 활용한 원료의약품 연구개발과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폴라리스AI파마의 연구개발 기술력·GMP 제조 상업화 경험과 비네이처바이오랩의 HME와 관련된 연구개발 기술력·설비를 결합해 원료의약품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지적재산권 개발을 목표로 한다.

비네이처바이오랩은 2020년 설립된 천연물 기반 바이오 기술 선도기업으로 HME-DDS 핵심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일환인 딥테크 팁스에 선정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지난해 10월 더존비즈온 (56,500원 ▼300 -0.53%)으로부터 투자 유치 후 딥테크 팁스를 통해 '맞춤형 다중 타깃 천연물 신제형 개발 및 제조'를 목표로 만성 질환을 위한 맞춤형 천연물 신제형 제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HME-DDS 기술은 물에 녹지 않는 난용성 약물의 용해성을 높이고 약물을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기존의 투여 방법에 비해 최대 50배의 흡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밖에도 생산적인 측면에서 공정단순화와 연속 공정이 가능해 품질 향상, 제조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머크, 애브비, 노바티스 등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HME 기술을 활용해 의약품을 상업화하고 있는 배경이기도 하다.

양사는 HME-DDS 기술을 적용한 원료의약품 제형으로 독점적인 새로운 결정형 및 개량신약 특허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쟁이 치열한 원료의약품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한다. 일반 제네릭은 등재 후 약가가 최대 54%인 반면 개량신약은 3년간 약가 70% 유지 및 최대 3~8년까지 연장이 가능해 높은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김영관 폴라리스AI파마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HME기술을 상업화해 수익성 높은 개량신약과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며 "그룹차원에서 AI(인공지능)을 결합한 발빠른 원료의약품 연구개발도 추진해 기존 사업의 수익성 극대화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폴라리스AI파마는 지난해 3월 폴라리스오피스그룹에 편입된 후 미래 지향적 사업 의지를 담아 폴라리스AI파마로 사명을 변경했다. 현재 원료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AI 기술을 접목하는 등 R&D(연구·개발) 효율을 높여 원가 절감 및 빠른 제네릭 개발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비네이처바이오랩  
  • 사업분야의료∙헬스케어
  • 활용기술기타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비네이처바이오랩'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