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퓨리오사AI는 어떤 기업/그래픽=윤선정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가 국내 NPU(신경망처리장치) 설계 팹리스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성사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퓨리오사AI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았지만 벤처투자업계에선 지난해 말부터 빅테크 인수 논의가 있었던 만큼 M&A가 급물살을 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12일 벤처투자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메타는 최근 퓨리오사AI에 대한 인수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경제매체 포브스는 소식통을 인용해 이르면 이달 내 인수 논의가 끝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메타 외에도 여러 빅테크 기업들이 퓨리오사AI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퓨리오사AI 측은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다"는 입장이다. 퓨리오사AI는 이날 오후 입장문을 내고 "당사는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고려하고 있으나 아직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퓨리오사AI에 투자한 벤처캐피탈(VC)들에 따르면 관련 논의는 지난해 말부터 추진돼 온 것으로 전해진다. 한 투자자는 "지난해 말부터 빅테크와 인수 관련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2017년 설립된 퓨리오사AI는 데이터센터용 AI반도체인 NPU를 설계하는 팹리스 스타트업이다. LLM(거대언어모델)이나 비전AI 등 초거대 AI의 추론에 특화된 NPU다. 지난해 8월 공개된 2세대 NPU '레니게이드'의 경우 추론 영역에 한해서는 엔비디아의 하이엔드급 GPU(그래픽처리장치)들보다 전성비(전력대비성능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메타 측은 퓨리오사AI를 인수할 경우 자체 반도체 설계에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메타는 최근 브로드컴과 공동으로 자체 데이터센터 등에서 활용할 반도체 MTIA를 개발하는 등 엔비디아 의존도 줄이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딥시크 등 오픈소스 AI 모델의 영향으로 AI 활용이 더욱 확대되면 메타의 반도체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상황에서 메타가 퓨리오사AI의 기술력을 눈여겨 봤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퓨리오사AI는 2021년 개발한 1세대 NPU '워보이'부터 벤치마크 플랫폼 'ML퍼프' 이미지 식별·객체 인식 분야에서 엔비디아의 T4를 넘어서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아왔다. 2세대 NPU '레니게이드'는 지난해 말부터 메타 외 LG AI연구원, 사우디 아람코를 비롯해 국내외 빅테크에서도 샘플링(테스트)을 진행하고 있다.
퓨리오사AI의 인수금액에 대해선 공개된 게 없다. 다만 퓨리오사AI의 이달 초 시리즈C 브릿지 라운드 투자유치에서 7400억원 가량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만큼 이보다는 높은 금액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퓨리오사는 DSC인베스트먼트, 한국산업은행, 네이버 D2SF, IMM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등에서 투자를 유치했다. 2023년 12월 기준 창업자인 백준호 대표의 지분율은 18.4%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