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가 유엔개발계획(UNDP)과 풀뿌리 이노베이션 어워즈를 진행하고, 국내외 기업들이 최신 기술력을 뽐낸 곳. 지난 10~19일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열린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SXSW)'의 이야기다.
SXSW는 1987년 텍사스주 작은 시골 마을인 오스틴의 지역 음악 축제로 시작했다. 한국으로 치면 '인천 펜타포트 음악축제'나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과 같은 취지의 음악 축제였다.
30여년이 지난 지금은 음악, 영화, 게임 등 문화 콘텐츠부터 첨단기술까지 전 세계인들이 주목하는 북미 최대의 크리에이티브 융합 산업 전시·박람회 행사로 거듭났다. SXSW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연간 3억6000만달러(약 46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보다 많은 참관객 유입

올해 1월 개최된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3'의 참가자가 11만5000명 규모라는 점을 감안하면 SXSW는 CES의 2배가 훌쩍 넘는 인원을 끌어모으고 있다.
기업들이 SXSW에 주목한 건 1995년 기술과 트렌드를 소개하는 '인터랙티브' 섹션이 도입되면서부터다. 이를 통해 성장한 스타트업들이 생겨났고, 2016년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이 기술 부문 기조연설을 하면서 IT 행사로서의 위상이 더욱 높아졌다.
SXSW는 업계 리더, 기술 혁신 기업, 대기업, 신규 스타트업, 유명한 작가 등 다양한 업계의 탑 혁신가들을 만날 수 있는 자리로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다양한 시각을 배울 수 있다.
오스틴이 갖는 지역적 이점도 있다. 텍사스주는 뉴욕이나 실리콘밸리에 비해 창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고, 많은 IT 기업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으며 명문대인 UT(University of Texas) 오스틴 등 다양한 인재 육성 창구가 있어 '실리콘 힐즈(Silicon Hills)'로 불린다.
스타트업들의 등용문…'시리'도 여기서 데뷔해 애플에 인수

애플의 음성인식 비서 서비스 '시리(Siri)'도 이곳을 통해 빛을 봤다. 스탠포드연구소 벤처그룹 산하 스타트업 Siri Inc가 개발한 시리는 2010년 SXSW 액셀러레이터(현 SXSW Pitch) 이노베이션 웹 부문에서 우승한 뒤 같은 해 애플에 인수됐다.
올해 SXSW에서도 △인공지능(AI) △음성·로보틱스 △엔터프라이즈·스마트데이터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콘텐츠 △음식·영양·헬스 △미래 업무 △혁신 세계 기술 △메타버스와 웹3.0 △스마트시티 등 8개 부문에서 40여개 인터랙티브 기술 기업이 참가했다.
전 세계의 투자자들이 미래의 투자를 위해 매년 SXSW로 몰려들면서 SXSW는 미국을 넘어 세계 시장을 노리는 국내외 기업들이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 이에 국내 스타트업들의 눈길도 텍사스 오스틴을 향하기 시작했다.
K-스타트업들도 관심…매년 참가 규모↑

올해는 △교육·소통 플랫폼 '클라썸(CLASSUM)' △K-팝 음반·영상 앨범 키트 제작 '뮤즈라이브(Muzlive)' △이머시브(몰입형) 콘텐츠 제작 '기어이(GiiOii)' △K-팝 보컬·댄스 트레이닝 '카운터컬쳐컴퍼니(Counterculture Company)' 등이 데뷔했다.
특히 이 중에서도 K-콘텐츠가 아닌 B2B 분야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 클라썸이 행사에 참여하게 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018년 설립된 클라썸은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B2B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영상강의 △공지 △설문 △일대일 피드백 △자동 출석체크 △강의 종료 후에도 기록으로 남는 대화기록 등 소통의 전 과정을 지원해 성장을 돕는다.
최근에는 챗GPT(ChatGPT)의 언어 모델을 결합한 'AI 도트 2.0'도 출시했다. 사내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문에 대한 답변까지 지원해 임직원 교육과 고객 문의 대응, 노하우 전수 등 사내 구성원들 간 더욱 원활한 소통과 협업이 이뤄지도록 한다.
최유진 클라썸 대표는 "더 많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소통을 기반으로 지식과 노하우 공유까지 가능한 클라썸의 특장점을 알리기 위해 SXSW를 찾았다"며 "SXSW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과 인사이트 공유가 두루 가능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행사 기간 북미와 유럽 관계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였다. 글로벌 사업 확장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SXSW에서 만난 글로벌 관계자들과 행사 종료 후에도 사업 미팅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클라썸
- 사업분야교육, IT∙정보통신
- 활용기술기타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클라썸'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지역 대학간 협력교육 효과적 추진"…울산대, 차세대 LMS 구축
- 기사 이미지 기업·직원 성장 위한 '스킬 구축' 돕는다…클라썸, AI 육성기능 출시
- 기사 이미지 글로벌에서 엄지척…K-에듀테크 클라썸, 'G2' 배지 5개 획득
관련기사
- 키오스크·포스기 원격 장애진단 '위젯누리', 중기부 팁스 선정
- "인플루언서 플랫폼 사업 강화" 레뷰코퍼레이션-램스튜디오 맞손
- "수익성 높은 웹3 게임 개발" 트레져랩스, 솔라나 전략투자 유치
- 거실에서도 TV로 비대면 진료…삼성·굿닥, 고령층 의료접근성↑
- 기자 사진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