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창업'에 대한 착각[우보세]

류준영 기자 기사 입력 2022.08.16 16:22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우리가 보는 세상]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창업기업 173곳 중 107곳이 적자 투성이.'

지난 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무소속)실이 내놓은 국정감사 자료의 제목이다. 이를 살펴보면 최근 10년(2011~2020년)간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 창업기업 173곳 중 45곳이 영업적자를 겪고 62곳은 매출이 0원이라고 꼬집었다. 사실 과학자 본연의 역할이 창업은 아니지 않나. 무능하고 한심해 보여도 '중대사급 현안'은 아니고 이렇게 단편적으로 다룰 문제도 아니다. 앞뒤 사정을 보면 해석이 달라질 수도 있어서다.

일단 공공연구기관에서 '기술창업'이란 사그라든 불씨가 다시 지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양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연구원 창업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제2의 창업붐'이란 사회적 분위기, 국가지원 시스템 등이 연구원 창업을 이끄는 적절한 자극제가 됐을 터.

연구원이 창업하겠다면 다들 뜯어말린 시절이 있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출신으로 현재 반도체 관련 소재 전문기업 호전에이블 창업자인 문종태 대표는 "2000년쯤 자신이 개발한 기술을 갖고 창업에 뛰어들었다가 신용불량자가 된 연구원이 숱하다"며 아픈 기억을 떠올렸다.

다수의 과학자도 '닷컴버블' 직격탄에서 비켜나지 못했다. 선배들이 인생의 나락으로 고꾸라지는 모습을 지켜본 후배 연구진은 공포에 질릴 수밖에 없었다. 이런 비극적 경험에서 연구자들이 다시 용기를 내고 있다. 어렵사리 되살린 창업의 불씨 속에 "63개 창업기업이 전반적으로 부실·방만하게 운영된다" "신속한 감사를 통해 구조조정하자"는 양 의원의 지적과 주장은 나가도 너무 나갔다.

특히 이 국감자료는 성급했다. 연구원 창업의 사업모델(BM)은 기존과 결이 다르다. 오랜 숙성과 인내가 요구된다. 그래서 현 시점에 영업적자는 당연한 결과다. 쿠팡, 배달의민족 등 소위 '빅플레이어'처럼 단기에 수익전환이 쉬운 플랫폼 비즈니스가 아니다. 많게는 선진국에 비해 30~40년 뒤진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이거나 전통 제조업 분야를 스마트화하기 위한 첨단부품·장비들이다. 어렵고 까다롭다. 하지만 국산화를 이루지 않으면 두고두고 국가경제 전반에 큰 리스크를 안겨줄 수 있는 분야, 우리나라 경제를 지탱해온 허리 역할을 하는 분야가 대다수인 것이다. 당장의 매출이나 이윤, 투자회수에 급급하기보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장기간 투자가 바람직하다.

지난 10년간 과기정통부가 173개 창업기업에 지원한 사업비가 총 95억8700만원이라고 한다. 최근 민간 유망 스타트업 1곳이 유치한 시리즈A 투자액 남짓한 규모다. 이를 173개 기업이 나눠 쓰니 연구원 창업환경은 빈약하다 못해 척박함을 짐작할 수 있다.

한 투자사 관계자의 말마따나 정부는 미국 실리콘밸리도 부러워할 많은 지원을 쏟아내고 있다. 국가경제 정책의 모든 방향타가 '창업'에 맞춰졌다. 그런데 과기정통부의 창업 지원책은 왜 이리 허술한가. 그저 연구·개발 전담부처라서? 그건 현실에 대한 몰이해다. 정책은 타이밍이다.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