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의 저비용 AI(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의 등장으로 국내 AI반도체(NPU) 설계 팹리스 스타트업들도 긴장하는 모습이다. 딥시크가 AI 인프라 투자에 대한 거품론을 제기하면서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 미국의 AI반도체 기업들의 주가가 휘청였기 때문이다. 다만 딥시크가 장기적으론 AI 시장의 크기를 키우면서 시장 확장의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7일 엔비...
고석용기자 2025.02.01 11: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비용·고성능 AI(인공지능) 서비스 '딥시크'(DeepSeek)가 전세계 IT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가운데, 딥시크의 '메기 효과'가 그간 성장이 정체돼 있던 국내 AI 스타트업들에게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의 작은 스타트업이 저사양 GPU(그래픽처리장치)로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 챗GPT의 아성에 도전했다는 것은, 다른 후발주자들도 AI 시장 진입에 가장 큰 장벽인 반도체 ...
최태범기자 2025.01.31 17:00:00지난주 공개된 중국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의 새로운 AI 모델 'R1'에 대한 호평이 이번 주 미국 실리콘밸리는 물론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 수출통제 등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작은 회사가 저사양 AI칩 및 저비용으로 현재 고성능 AI모델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딥시크 등장으로 미국의 AI 개발 주도권이 중국으로 넘어가고, 그간 AI 열풍에 이어졌던 엔비디아의 전성기가 끝날 수 있단 관측마저 나온다. 반면 애플은 이번 사태로 'AI 후발주자'라는 꼬리표를 뗄 기회를 얻었다는 평가도 있다. 30...
정혜인기자 2025.01.30 17:30:31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가 지난해 데이터 유출 사건이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와 연관 있을 수 있다며 관련 조사를 시작했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MS의 보안 쪽 관계자를 인용해 "지난해 가을 오픈AI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이용해 대량의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된 정황을 포착했는데, 이게 딥시크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API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오픈AI의 인공지능(AI) 모델을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수 있도록 유료 라이선스를 제공하...
김하늬기자 2025.01.30 09:30:00AI(인공지능) 붐을 일으킨 '챗GPT'를 만든 오픈AI가 미국 정부와 손잡고 '적대 국가'로부터 기술 탈취당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챗봇이 공개된 뒤 미 백악관까지 나서 국가안보 우려를 언급하는 등 급박히 돌아가는 상황에 발맞추는 행보로 풀이된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중국 기업들이 자체 AI 개발을 위해 끊임없이 미국의 경쟁업체들을 활용하려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성명에서 오픈AI는 "AI의 선도 업체로서 우...
김하늬기자 2025.01.30 14:00:00미국 백악관이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저비용 인공지능(AI) 모델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국가안보회의가 딥시크의 영향을 검토 중"이라며 "이것은 모든 미국 AI 산업에 대한 경종"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8일(현지시간) 전했다. 레빗 대변인은 백악관이 검토 후 조치에 나설 것인지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전날 플로리다주 트럼프 내셔널 도랄 마이애미 리조트에서 열린 공화당 연방하원 콘퍼런스 연설...
심재현기자 2025.01.30 08:45:47중국의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의 챗봇이 미국의 경쟁업체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미국에서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는 횟수가 급증하고 있다. 다만 딥시크에는 중국의 검열 정책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와 영어로 시진핑 중국 주석에 관한 질문을 하자 답변이 나오지 않아서다. 28일 뉴스1에 따르면 블룸버그는 지난 27일 애플 앱스토어에서 가장 많이 내려받아진 앱은 딥시크의 앱이라고 보도했다. AI 열풍을 일으켰던 오픈 AI의 챗GPT 앱을 추월했다. 하지만 딥시크에는 중국의 검열 정책이 적용되는 것으로 ...
박미주기자 2025.01.28 20:00:00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내놓은 저비용 인공지능(AI) 모델이 세계적인 파장을 일으킨 데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 실세이자 미국 빅테크업계의 실력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가 낮은 개발비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머스크는 2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딥시크가 발표한 것보다 비싼 엔비디아의 최신 칩 'H100'을 대량 보유하고 있다는 내용의 글을 공유했다. 이 글에는 AI 데이터업체 스케일AI의 알렉산더 왕 CEO와 CNBC와 인터뷰 영상과 함께 "딥시크가 약 5만개의 ...
심재현기자 2025.01.28 19:00:00중국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AI 챗봇을 공개해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가운데 딥시크를 만든 량원펑(40)에게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7일(현지시각) 포천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1985년생인 량원펑은 중국 명문 저장대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이다. 대학 졸업 후 2015년 친구들과 퀀트, 즉 계량적 분석 기법을 사용하는 하이플라이어(High-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세웠다. 그리고 시장 동향을 예측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기 위해 트레이딩 전략...
윤세미기자 2025.01.28 21:04:00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공개한 저비용 인공지능(AI) 챗봇 충격으로 27일(현지시간) AI 대장주 엔비디아가 17% 급락하는 등 뉴욕증시에서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인 가운데 그동안 생성형 AI의 대표로 통했던 오픈AI의 챗GPT와 딥시크 R1을 비교한 글이 뒤늦게 화제다.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는 지난 21일 챗GPT o1 프로와 딥시크 R1에 '회전하는 삼각형 안에 들어있는 빨간색 공을 구현해달라'고 요구했다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게시자는 이와 함께 챗GPT와 딥시크가 구현한 결과를 첨부했다. 딥시크가 지난 20...
심재현기자 2025.01.28 18: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