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대' 이공계 대학연구소, 정부가 10년간 1000억 쏜다

성시호 기자 기사 입력 2025.02.10 12: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과기정통부-교육부, NRL 2.0 사업 공고
연구소 1곳당 최장 10년·연 100억 지원
2027년까지 3년간 매년 연구소 4곳 신규 선정


정부가 이공계 대형·융복합 연구를 주도할 대학부설연구소 10여곳을 선정해 연구소마다 최장 10년간 총 1000억원씩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국가연구소(NRL 2.0)' 사업을 공고했다고 10일 밝혔다. 올해 선정할 연구소는 4곳이며, 내년과 내후년에도 각각 연구소 4곳을 새로 선정할 계획이다. 사업시작 시점은 오는 9월이다.

선정된 연구소는 자율성 높은 '패키지형 블록펀딩' 예산을 받아 △연구인력 확충 △연구시설장비 구축 △국내외 공동 연구개발(R&D) 등을 대학 특성·강점에 맞게 추진할 수 있다. 연구소 내 구성원 역시 전임·겸임 연구원과 박사 후 연구원, 장비 엔지니어, 행정지원 인력 등으로 자유롭게 편성할 수 있다. 다만 사업규정상 각 대학들은 연구소를 대학본부 직할조직으로 운영해야 한다.

사업은 기존 연구소나 재편·신설할 연구소 모두 신청할 수 있다. 정부는 연구소의 역량·발전계획과 교비 투입규모를 비롯한 대학의 연구소 운영의지를 예비·본평가에 걸쳐 확인할 예정이다. 사업공고와 추진일정은 과기정통부·교육부·한국연구재단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온·오프라인 설명회는 각각 오는 24·27일, 접수마감은 4월 말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연구소의 자율성을 전폭적으로 보장하는 형태"라며 "연구시스템을 혁신하기 위해 학내규정을 정비하거나, 연구인력을 채용하는 등 대학의 육성의지도 중점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NRL 2.0 사업은 1999년부터 10여년간 이어진 국가지정연구실(NRL) 사업의 후신으로 마련됐다. 그간 개별 과제·연구자·연구실을 지원하던 정부 R&D 지원사업의 단위를 연구소로 넓혀 안정적인 연구거점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대학을 향한 정부의 지원이 부처별로 분산돼 대형·융복합 연구를 위한 '연구 임계규모'를 확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NRL 2.0 사업을 통해 소수의 대학부설연구소를 장기적·안정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연구원 1000여명이 행정직원 30여명을 지원받아 학제간 연구를 진행하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에너지·환경연구소, 4개 학과 소속 교원 등 연구원 300여명이 국제연구를 수행하는 일본 도쿄대 카블리 연구소 등을 참고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과거 NRL 사업이 척박했던 국내 대학 연구 생태계 확충에 크게 기여한 것처럼 NRL 2.0 사업이 연구역량 제고와 선도형 연구시스템 확충에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국내 대학 연구소가 국제사회의 연구혁신을 이끌고 국내외 우수인재들이 몰려드는 연구거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NRL 2.0 사업과 별도로 기존 집단연구·연구소 지원사업도 연구주제·규모별로 계속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국가연구소-대학기초연구소지원(G-LAMP)-글로컬랩'으로 이어지는 '대학연구혁신(URI)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 기자 사진 성시호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