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기술(IT) 채용이 침체한 가운데 유일하게 'AI 개발자'에 대한 시장의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IT 채용에서 선호되는 연차는 '중고 신입'과 같은 '1~4년 차 미만'의 주니어로 나타났다.
4일 에듀테크 스타트업 진지한컴퍼니는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IT 채용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진지한컴퍼니가 자체 운영 중인 IT 채용시장 정보제공서비스 'IT 스킬 트렌드'를 토대로 분석했다. AI 기술을 활용해 7만건 이상의 IT 채용 공고를 들여다봤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전체 IT 채용은 41.3%가 줄어 시장 자체가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디자인과 기획 직군이 각각 48.9%, 53.7% 반토막으로 줄어든 가운데 개발 직군은 37.8%, AI(인공지능)·데이터는 22.1% 감소했다.
타 직군 대비 AI·데이터 직군의 감소세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나타났다. AI·데이터 기술의 중요성이 IT 채용 시장에 반영된 결과로 해석됐다. 특히, AI 개발자는 전체 IT 채용 하락세 가운데서도 유일하게 8.2%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데이터와 머신러닝의 엔지니어도 각각 40.9%, 29.5%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돼 타 직군보다 감소세가 상대적으로 덜했다.
이 외에는 서비스 기획자가 48.9% 감소한 것을 비롯해 △PO·PM -37.1% △UI·UX 디자이너 -57.5% △프로덕트 디자이너 -40.1% △백엔드 개발자 -37.1%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41.8% △앱 개발자 -50.6%로 나타났다.
채용 공고에 올라온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최근 AI 개발자에게 가장 요구되는 역량은 'LLM(대규모언어모델) 활용'과 'LangChain'(랭체인)으로 나타났다. 2022년과 비교했을 때 요구되는 역량 순위가 각각 116단계, 157단계 상승했다. 랭체인은 LLM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에 특화한 프레임워크를 말한다.
이 외에도 '데이터 분석' 역량이 기획과 AI·데이터 직군에서 가장 많이 요구됐다. 디자인 직군에서도 '데이터 분석'이 8위에 위치할 정도로 IT 전 직군에 걸쳐 데이터 활용 역량이 중요해졌다는 해석이다.
기업이 신입보다 경력자를 선호하는 경향도 짙어지고 있다. IT 인력 채용시 1~4년 차 미만의 인력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주니어(1~4년 차 미만)이 지난해 채용의 48.5%로 절반에 육박한 가운데 미들(4~8년 차 미만) 36.8%, 시니어(8년 차 이상) 11.4%, 신입(1년 차 미만) 3.3% 순으로 집계됐다. 신입 채용은 줄어드는 추세로 2022년 3.8%, 2023년 3.4%, 2024년 3.3%로 3년 연속 비중이 감소했다.
박진이·김지연 진지한컴퍼니 공동대표는 "챗GPT의 등장 이후 IT 채용 시장의 변화의 주기가 빨라지고 폭도 커지고 있어 구직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다"며 "'IT 스킬 트렌드'를 IT 현직자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나만의 커리어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정보통신기술(IT) 채용이 침체한 가운데 유일하게 'AI 개발자'에 대한 시장의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IT 채용에서 선호되는 연차는 '중고 신입'과 같은 '1~4년 차 미만'의 주니어로 나타났다.
4일 에듀테크 스타트업 진지한컴퍼니는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IT 채용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진지한컴퍼니가 자체 운영 중인 IT 채용시장 정보제공서비스 'IT 스킬 트렌드'를 토대로 분석했다. AI 기술을 활용해 7만건 이상의 IT 채용 공고를 들여다봤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전체 IT 채용은 41.3%가 줄어 시장 자체가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디자인과 기획 직군이 각각 48.9%, 53.7% 반토막으로 줄어든 가운데 개발 직군은 37.8%, AI(인공지능)·데이터는 22.1% 감소했다.
타 직군 대비 AI·데이터 직군의 감소세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나타났다. AI·데이터 기술의 중요성이 IT 채용 시장에 반영된 결과로 해석됐다. 특히, AI 개발자는 전체 IT 채용 하락세 가운데서도 유일하게 8.2%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데이터와 머신러닝의 엔지니어도 각각 40.9%, 29.5%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돼 타 직군보다 감소세가 상대적으로 덜했다.
이 외에는 서비스 기획자가 48.9% 감소한 것을 비롯해 △PO·PM -37.1% △UI·UX 디자이너 -57.5% △프로덕트 디자이너 -40.1% △백엔드 개발자 -37.1%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41.8% △앱 개발자 -50.6%로 나타났다.
채용 공고에 올라온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최근 AI 개발자에게 가장 요구되는 역량은 'LLM(대규모언어모델) 활용'과 'LangChain'(랭체인)으로 나타났다. 2022년과 비교했을 때 요구되는 역량 순위가 각각 116단계, 157단계 상승했다. 랭체인은 LLM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에 특화한 프레임워크를 말한다.
이 외에도 '데이터 분석' 역량이 기획과 AI·데이터 직군에서 가장 많이 요구됐다. 디자인 직군에서도 '데이터 분석'이 8위에 위치할 정도로 IT 전 직군에 걸쳐 데이터 활용 역량이 중요해졌다는 해석이다.
기업이 신입보다 경력자를 선호하는 경향도 짙어지고 있다. IT 인력 채용시 1~4년 차 미만의 인력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주니어(1~4년 차 미만)이 지난해 채용의 48.5%로 절반에 육박한 가운데 미들(4~8년 차 미만) 36.8%, 시니어(8년 차 이상) 11.4%, 신입(1년 차 미만) 3.3% 순으로 집계됐다. 신입 채용은 줄어드는 추세로 2022년 3.8%, 2023년 3.4%, 2024년 3.3%로 3년 연속 비중이 감소했다.
박진이·김지연 진지한컴퍼니 공동대표는 "챗GPT의 등장 이후 IT 채용 시장의 변화의 주기가 빨라지고 폭도 커지고 있어 구직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다"며 "'IT 스킬 트렌드'를 IT 현직자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나만의 커리어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진지한컴퍼니
- 사업분야엔터∙라이프스타일
- 활용기술기타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관련기사
- 퇴직연금, 벤처투자 빗장 풀릴까...'사상 첫 경선' VC협회장 주목
- 13만 크리에이터 모인 클래스101, 美 스트롱벤처스서 35억 투자 유치
- 퓨리오사AI, 크릿벤처스서 20억 투자유치…"글로벌 도약 기대"
- "QR 코드 허위 주문 방지"…모코플렉스, '큐로' 특허 기술 등록
- 1년만에 한국 찾는 샘 올트먼, 뤼튼·라이너 등 AI스타트업 만난다
- 기자 사진 남미래 기자 future@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