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이코노미스트의 이 10월 17일자 기사는 놀라운 근미래를 보여줍니다. 촘촘하게 떠있는 저궤도 인공위성들을 통해 전 세계 인류 모두가 저렴한 가격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미래입니다. 물론 상당한 수의 인류는 이미 이런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서비스 가격이 조금 높긴 하지만 어느 순간 가격경쟁력에서도 지상의 인터넷 서비스에 지지 않게 될 것입니다. 서울에서 뉴욕까지 15시간을 비행하는 중에도 인터넷에 접속해 이메일을 보내고 유튜브를 보게 될 것입니다. 외국에 가더라도 해외로밍이나 와이파이 서비스를 따로 신청할 필요도 없습니다. 정치적 이유로 마음만 먹으면 예컨대 북한 주민들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하늘에서 직접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스페이스X는 이미 우크라이나 전쟁에 개입해 우크라이나 군대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이 서비스가 없으면 드론을 멀리 날리는 것도 어려웠을 것이고 공개정보를 이용해 적을 탐지하고 공격하는 것도 어려웠을 것입니다. 이제 우주 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습니다. 과거 스쿨버스 크기였던 인공위성은 이제 백팩 크기 이하로 작아지고 있고, 비용도 놀라울 정도로 낮아졌습니다. 이 모든 변혁의 중심에 있는 것이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이고, 특히 스타링크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나중에 별도의 기업으로 분사될 스타링크는 수십 억 인류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우크라이나에서 했듯 지정학적 개입까지 불사할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 기사를 읽으시면서 우주 인터넷 시대에 대해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기사 전문은 PADO 웹사이트(pado.kr)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분명 엔지니어링의 위업이었다. 인류가 하늘로 날린 역사상 가장 큰 물체의 아래쪽 절반―이것만도 747 여객기만큼 크다―은 마찰로 인해 벌겋게 타오르며 빠르게 하늘에서 튀어나와 땅으로 돌진했다.
지상은 이 물체를 잡기 위해 분주했는데, 로켓의 엔진이 잠시 재점화되면서 로켓의 속도를 늦추더니 불과 7분 전에 발사되어 떠나갔던 철탑을 향해 로켓을 조심스럽게 되돌려놓고 있었다. 철탑은 두 팔 같은 것들을 휘젓더니 로켓을 잡아냈고, 로켓은 이른 아침 햇살을 받으며 공중에 매달린 채 연기를 내뿜고 있었다.
그런데, 10월 13일에 시험 발사된 이 거대한 로켓의 동역학적 경이로움보다는 주목되지 않지만 사실 더 중요한 것은 스타십의 경제성이다. 스타십은 10월 13일에 시험발사된 거대 로켓의 이름이다.
스타십을 제작한 스페이스X는 2002년 기업가인 일론 머스크가 우주로 물건을 날려 보내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다. 머스크는 이러한 비용 절감을 통해 화성에 인간 정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지구에서도 새로운 일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지난 4년 동안 스페이스X는 로켓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아우르는 인터넷 기업이 되었다.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수의 위성(현재 약 6400개이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을 사용하여 지구상 거의 모든 곳에서 빠른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 스타링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놀라운 스타링크 스타링크의 전망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스페이스X의 기업 가치는 1800억 달러(약 250조원)로 상승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언젠가 머스크가 최고경영자로 있는 전기자동차 회사 테슬라의 가치와 비슷하거나 더 높아질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전망하고 있다.
스타십이 그 약속에 부응한다면, 거대한 규모와 저렴한 가격이 결합되어 우주 전반의 경제성, 특히 스타링크의 경제성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스X의 팰컨 로켓은 다른 로켓과 달리 하단을 회수하여 다시 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우주 비행 비용을 크게 낮췄다. 씨티그룹의 추정에 따르면 팰컨은 10년 전보다 약 10분의 1의 비용으로 1톤을 우주로 보낼 수 있다고 한다.
애널리스트 회사인 브라이스테크의 수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 전세계 민간 기업이나 국가 우주 프로그램을 포함한 모든 경쟁자를 합친 것보다 거의 7배 많은 위성을 궤도 위에 올려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
PADO 웹사이트(https://www.pado.kr)에서 해당 기사의 전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국제시사·문예 매거진 PADO는 통찰과 깊이가 담긴 롱리드(long read) 스토리와 문예 작품으로 우리 사회의 창조적 기풍을 자극하고, 급변하는 세상의 조망을 돕는 작은 선물이 되고자 합니다.
- 기자 사진 김동규 PADO 편집장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