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Arm 되겠다" 반도체 IP 스타트업의 근거 있는 자신감

고석용 기자 기사 입력 2024.06.20 07: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스타트UP스토리]김창수 에임퓨처 대표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김창수 에임퓨처 대표 인터뷰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김창수 에임퓨처 대표 인터뷰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시스템반도체 생태계에는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와 이를 기반으로 생산하는 '파운드리' 외에도 다양한 구성원들의 기술이 필요하다. 그중 하나는 팹리스 기업들에게 설계의 바탕이 될 개념구조 등 설계자산(IP)를 제공하는 IP기업이다. 퀄컴, 삼성전자 등에 IP를 제공하는 Arm이 대표적이다.

국내에도 Arm처럼 IP 시장에 승부수를 던진 스타트업이 있다. LG전자 미주연구소에서 분사한 스타트업 에임퓨처다. 에임퓨처는 가전, 자동차, 로봇 등 제품을 작동시키는 반도체들이 AI(인공지능)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관련 NPU(신경망처리장치) 관련 IP를 제공한다.

예컨대 가정용 월패드에 탑재된 한 반도체(SoC·시스템온칩)는 내부가 도어 카메라 영상통신 담당 블록, 가전제품들과의 IoT(사물인터넷) 통신 담당 블록 등 기능별 여러 블록으로 구성돼있다. 이 월패드에 갑자기 방문자를 식별하는 AI 솔루션을 추가하면 부하가 발생한다. 해당 반도체에는 AI를 작동시키는 NPU 블록이 없어서다. 에임퓨처는 이럴 때 팹리스들에게 NPU IP를 공급해 손쉽게 NPU 블록을 추가할 수 있게 한다.


"반도체에 AI 가속 기능 추가…LG전자서 검증된 NPU IP"


에임퓨처 개요/그래픽=이지혜
에임퓨처 개요/그래픽=이지혜
김창수 에임퓨처 대표는 "모든 제품에 AI 기능이 들어가기 시작하면서 점점 많은 반도체들이 NPU 블록을 필요로 하고 있다"며 "그러나 팹리스들이 반도체의 모든 블록을 직접 개발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반도체의 다양한 블록들을 모두 직접 개발하기엔 인력이나 비용이 상당한데다, NPU 분야는 특히 개발 난도가 높기 때문이다.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개발에 성공해도 양산과 판매까지 과정은 쉽지 않다. 김 대표는 "팹리스가 반도체 하나를 설계해 파운드리에 생산을 맡기는 데까지는 수백억원이 소요된다"며 "블록 하나가 불량이어도 전체 생산과정이 올스톱 되는 만큼 검증된 IP인지 여부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라고 말했다. 이에 팹리스들은 자신들이 특화된 일부 블록 개발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블록은 IP를 받아와 개발한다.

에임퓨처의 IP 경쟁력은 상당하다는 평가다. LG전자에서의 개발기간과 상용화 이력 때문이다. 김 대표와 에임퓨처 창업맴버들은 2015년부터 LG전자에서 가전제품용 반도체를 개발해왔다. 해당 반도체는 로봇청소기, 냉장고, TV 등 가전제품에 탑재돼 판매됐고 이는 에임퓨처 IP의 레퍼런스로 이어졌다.

김 대표는 "LG전자에서 IP를 검증받은 것은 에임퓨처의 중요한 경쟁력 중 하나"라며 "아직 시장 검증까지 마친 NPU IP들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피앤피네트워크, 수퍼게이트 등 팹리스들도 이런 이유로 차량 및 CC(폐쇄회로)TV용 반도체에 에임퓨처의 NPU IP를 선택했다. 에임퓨처는 올해 약 15억원의 IP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P 다양화·SW 고도화 목표…K반도체 경쟁력 높일 것"


김창수 에임퓨처 대표 인터뷰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김창수 에임퓨처 대표 인터뷰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김 대표는 삼성전자에서 10여년을 재직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텍사스인스트루먼트, 크래들테크놀로지, 시높시스, 케이던스 등 팹리스와 IP기업에서 근무했다. 김 대표는 "커리어의 절반은 팹리스, 나머지 절반은 IP기업이었다"며 "매출 규모는 적지만 개발 비용·시간이 적어 다양한 IP를 개발할 수 있는 IP 비즈니스의 매력을 느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IP 비즈니스를 위해 2020년 LG전자에서 스핀오프를 결심한다. 설계된 반도체로 차별화된 가전제품을 만드는 LG전자 입장에선 IP 비즈니스는 불가능했다. 반도체 IP를 외부에 공유하는 것은 제품의 핵심기술을 경쟁사에 제공하는 것과 같았기 때문이다. LG전자도 에임퓨처가 해당 IP를 가지고 스핀오프 할 수 있게 지원했다. 에임퓨처가 스핀오프 후 누적 82억원을 투자유치하며 지분이 희석됐지만, 현재까지도 LG전자는 에임퓨처의 최대주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김 대표는 스핀오프를 결심한 배경에 "사명감도 있었다"고 했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에도 팹리스 기업들이 늘고 있지만 아직 대부분 해외의 IP를 구입해 사용한다"며 "반도체 개발에 성공해도 매출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에도 굵직한 IP기업이 2~3곳은 생겨야 K-반도체도 경쟁력이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임퓨처의 올해 과제는 IP 다양화다. NPU 분야에서도 다양한 스펙으로 IP를 구성하고 NPU 외 다른 분야의 IP 개발에도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에임퓨처의 IP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AI 솔루션을 최적화하는 SDK(소프트웨어개발키트)도 고도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에는 시리즈B 투자유치도 계획하고 있다.

김 대표는 "대한민국이 진짜 반도체 강국이 되려면 Arm 같은 IP기업이 나와야 한다"며 "에임(Aim)퓨처를 한국의 Arm으로 만들고, 한국의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도 성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에임퓨처  
  • 사업분야소재∙부품∙장비
  • 활용기술인공지능, 첨단반도체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에임퓨처'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