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업팩토리]우주산업 핵심 '발사체', 주역으로 주목받는 스타트업
[편집자주] '테크업팩토리'는 스타트업과 투자업계에서 가장 '핫'한 미래유망기술을 알아보는 코너입니다. 우리의 일상과 산업의 지형을 바꿀 미래유망기술의 연구개발 동향과 상용화 시점, 성장 가능성 등을 짚어봅니다.


특히 탑재되는 위성이 가벼워지면서 경제성이 생긴 소형발사체 분야에서는 스타트업 두 곳이 주도적이라는 평가다. 2017년 설립된 이노스페이스와 2018년 설립된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이하 페리지)다. 두 스타트업은 올해와 내년 자체 개발한 발사체의 시험발사를 앞두고 있어 본격적인 우주산업 시대를 열어갈 주역으로 주목받는다.

한빛-TLV는 길이 16.3m로, 누리호(47.2m)에 비해 크기가 작은 소형 발사체다. 중량한도도 50kg이하(궤도 500km기준)다. 그러나 발사체에 실릴 인공위성이 소형화되고 있어 효율성은 높다. 이노스페이스 측은 10kg급 나노위성 4~5개를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2023년에는 최종적으로 '한빛-나노'를 개발 완료해 발사하려는 것이 목표"라며 "일단 6개월의 준비기간이 남은 한빛-TLV를 발사에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준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초소형 발사체 시험발사 성공한 페리지…50kg급 개발 중" 카이스트 학생창업 기업 페리지 역시 소형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다. 페리지는 액체연료 엔진을 기반으로 발사체를 개발한다. 지난 3월에는 카이스트와 함께 제주도에서 시험발사체 'BW 0.1' 발사를 성공시키기도 했다. BW-0.1은 길이 3.2m로 한빛-TLV보다도 작은 초소형 발사체다. 150kg급 액체연료 엔진이 장착됐다.
페리지는 최종적으로 2.6t급 액체엔진으로 50kg 탑재체를 500km 궤도까지 보낼 수 있는 'BW 1.0'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는 우주에서 인공위성을 설계된 궤도로 보내게 될 상단부(2단)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후 지상부터 우주까지 비행을 담당할 하단부(1단)을 개발한 뒤 BW 1.0을 완성시킨다는 계획이다.

스타트업들의 도전에 이어 대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642,000원 ▼60,000 -8.55%)와 대한항공 (20,650원 ▼900 -4.18%)도 소형발사체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누리호의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소형발사체를 개발하기로 했다. 2012년 나로호 엔진개발에도 참여했던 대한항공 역시 소형발사체용 엔진개발에 착수했다. 두 대기업이 개발하는 소형발사체의 탑재중량은 500kg 수준으로 이노스페이스와 페리지의 발사체보다는 규모가 크다.
이노스페이스
- 사업분야항공∙우주∙국방
- 활용기술기타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노스페이스'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이노스페이스, 위성 발사체 단 분리 시험 성공…"핵심기술 모두 확보"
- 기사 이미지 [우보세] K-딥테크 스타트업과 '메카질라 모멘트'
- 기사 이미지 韓 최초 상업용 로켓 뜬다…이노스페이스, 민간 발사체 완성 '코앞'
- 기자 사진 고석용 기자 gohsyng@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