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기술로 장애 극복하는 국제 대회 '사이배슬론'
팀 KAIST, 사이배슬론 '웨어러블 로봇' 종목서 2회 연속 금메달
연세대 '비어게인(BeAGain)'팀,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서 韓 최초 우승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이 장애를 극복하는 로봇 기술로 실력을 겨루는 국제대회 '2024년 사이배슬론'의 두 종목에서 우승했다. KAIST의 '카이스트'팀이 웨어러블 로봇 종목에서, 연세대의 '비어게인(BeAgain)'팀이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에서 각각 금메달을 차지했다. 카이스트 팀은 2020년 대회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 비어게인 팀은 해당 종목에서 한국 최초로 우승을 거머쥐었다.
KAIST와 연세대는 28일 '제3회 사이배슬론'에 출전한 '카이스트(KAIST)'와 '비어게인'이 각 출전 종목에서 최종 우승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이배슬론은 장애인이 웨어러블 로봇 등의 생체공학 보조 장치 도움을 받아 각종 미션을 수행하는 국제대회다. 2016년 첫 개최 이후 4년마다 한 번씩 열리며 '사이보그 올림픽'으로도 불린다. 경기 종목은△웨어러블 로봇 △재활로봇자전거 △ 로봇 의수 △로봇 휠체어 등 총 8개다. 이번 제3회 사이배슬론 대회에는 총 26개 국가에서 71개 팀이 참가했다. 한국에서는 웨어러블 로봇과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에서 두 팀이 참가했다. 사이배슬론은 스위스 현지와 각국 경기장에서 생중계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한국팀은 국내 경기시설에서 온라인으로 참가했다.
카이스트팀,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우승 차지 공경철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KAIST 엑소랩·무브랩 연구팀은 웨어러블로봇 전문 기업 엔젤로보틱스와 함께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용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F1'을 개발해 도전장을 내밀었다. 하반신마비 장애를 가진 김승환 KAIST 연구원이 선수로 출전했다. 김 연구원은 웨어러블 로봇에 완전히 의지해 △계단 난간을 잡지 않고 계단 오르내리기 △양손을 사용해 선 채로 칼질하기 △지정된 구간에서 목발 없이 자유 보행하기 등의 주요 미션을 단 6분 41초 만에 모두 성공했다. 이처럼 모든 미션을 10분 이내에 완수한 팀은 한국 팀이 유일하다.
우승을 이끈 김 연구원은 "한국의 세계 최고 수준 웨어러블 로봇 기술을 내 몸으로 알릴 수 있어 너무나 감격스럽다"고 소감을 밝혔다. 팀의 주장을 맡은 박정수 연구원은 "우리 스스로와의 경쟁이라 생각하며 기술적 초격차를 보여주는 데 집중했는데 좋은 결과로 이어져서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 한국팀 웨어러블 로봇 경기 영상 보기
연세대 비어게인팀,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에서 한국 최초로 우승
비어게인팀은 근육전기자극(FES)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은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이 로봇 자전거를 타고 1960미터(m)에 이르는 긴 트랙을 가장 빠르게 완주해야 승리하는 경기다.
신동준 연세대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김정엽 서울과기대 교수·박기원 인천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AI(인공지능) 로봇 자전거를 개발해 출전했다. 탑승자의 근육 상태를 분석해 손상된 운동신경을 대신하고, AI 알고리즘으로 최적의 근육 수축 신호를 생성해 외부 동력 없이 탑승자 본인의 근육만으로 자전거를 움직이도록 설계했다.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인 임훈섭 연세대 연구원이 선수로 나섰다.
그 결과 연구팀은 직전 대회 우승국인 네덜란드를 제치고 6분 2초라는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2위를 차지한 네덜란드는 6분 5초, 3위 이탈리아는 7분 34초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앞서 2020년 사이배슬론에도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의 국내 유일팀으로 출전했지만, 20년 이상의 재활로봇자전거 연구 역사를 가진 유럽팀에 눌려 5위에 그친 바 있다.
신 교수는 "준비 시간이 짧았음에도 연구원과 선수의 훌륭한 전략과 훈련으로 값진 결과를 얻었다"며 "마비 환자뿐 아니라 근력 보조가 필요한 노약자와 이동이 불편한 일반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 한국팀 재활로봇자전거 경기 영상 보기
한국이 장애를 극복하는 로봇 기술로 실력을 겨루는 국제대회 '2024년 사이배슬론'의 두 종목에서 우승했다. KAIST의 '카이스트'팀이 웨어러블 로봇 종목에서, 연세대의 '비어게인(BeAgain)'팀이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에서 각각 금메달을 차지했다. 카이스트 팀은 2020년 대회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 비어게인 팀은 해당 종목에서 한국 최초로 우승을 거머쥐었다.
KAIST와 연세대는 28일 '제3회 사이배슬론'에 출전한 '카이스트(KAIST)'와 '비어게인'이 각 출전 종목에서 최종 우승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이배슬론은 장애인이 웨어러블 로봇 등의 생체공학 보조 장치 도움을 받아 각종 미션을 수행하는 국제대회다. 2016년 첫 개최 이후 4년마다 한 번씩 열리며 '사이보그 올림픽'으로도 불린다. 경기 종목은△웨어러블 로봇 △재활로봇자전거 △ 로봇 의수 △로봇 휠체어 등 총 8개다. 이번 제3회 사이배슬론 대회에는 총 26개 국가에서 71개 팀이 참가했다. 한국에서는 웨어러블 로봇과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에서 두 팀이 참가했다. 사이배슬론은 스위스 현지와 각국 경기장에서 생중계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한국팀은 국내 경기시설에서 온라인으로 참가했다.
카이스트팀,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우승 차지 공경철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KAIST 엑소랩·무브랩 연구팀은 웨어러블로봇 전문 기업 엔젤로보틱스와 함께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용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F1'을 개발해 도전장을 내밀었다. 하반신마비 장애를 가진 김승환 KAIST 연구원이 선수로 출전했다. 김 연구원은 웨어러블 로봇에 완전히 의지해 △계단 난간을 잡지 않고 계단 오르내리기 △양손을 사용해 선 채로 칼질하기 △지정된 구간에서 목발 없이 자유 보행하기 등의 주요 미션을 단 6분 41초 만에 모두 성공했다. 이처럼 모든 미션을 10분 이내에 완수한 팀은 한국 팀이 유일하다.
우승을 이끈 김 연구원은 "한국의 세계 최고 수준 웨어러블 로봇 기술을 내 몸으로 알릴 수 있어 너무나 감격스럽다"고 소감을 밝혔다. 팀의 주장을 맡은 박정수 연구원은 "우리 스스로와의 경쟁이라 생각하며 기술적 초격차를 보여주는 데 집중했는데 좋은 결과로 이어져서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 한국팀 웨어러블 로봇 경기 영상 보기
연세대 비어게인팀,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에서 한국 최초로 우승
비어게인팀은 근육전기자극(FES)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은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이 로봇 자전거를 타고 1960미터(m)에 이르는 긴 트랙을 가장 빠르게 완주해야 승리하는 경기다.
신동준 연세대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김정엽 서울과기대 교수·박기원 인천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AI(인공지능) 로봇 자전거를 개발해 출전했다. 탑승자의 근육 상태를 분석해 손상된 운동신경을 대신하고, AI 알고리즘으로 최적의 근육 수축 신호를 생성해 외부 동력 없이 탑승자 본인의 근육만으로 자전거를 움직이도록 설계했다.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인 임훈섭 연세대 연구원이 선수로 나섰다.
그 결과 연구팀은 직전 대회 우승국인 네덜란드를 제치고 6분 2초라는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2위를 차지한 네덜란드는 6분 5초, 3위 이탈리아는 7분 34초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앞서 2020년 사이배슬론에도 재활로봇자전거 종목의 국내 유일팀으로 출전했지만, 20년 이상의 재활로봇자전거 연구 역사를 가진 유럽팀에 눌려 5위에 그친 바 있다.
신 교수는 "준비 시간이 짧았음에도 연구원과 선수의 훌륭한 전략과 훈련으로 값진 결과를 얻었다"며 "마비 환자뿐 아니라 근력 보조가 필요한 노약자와 이동이 불편한 일반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 한국팀 재활로봇자전거 경기 영상 보기
'사이배슬론'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 화재 경보 96%가 오작동…불필요한 소방 신고 줄일 'AI 센서' 나왔다
- 로봇이 걸어오더니 몸에 '착'…하반신 마비 장애인, 스스로 일어났다
- 하반신 마비 수년, 두 발로 '우뚝'…"이렇게 걸었었지" [영상]
- 기자 사진 박건희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