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진출 패스트트랙

섬유폐기물 문제 해결 나선 기후테크 '제클린', 시리즈A 투자유치

최태범 기자 기사 입력 2024.06.03 12:3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왼쪽부터)김성하 대덕벤처파트너스 파트너, 차승수 제클린 대표, 이병선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사진=제클린 제공
(왼쪽부터)김성하 대덕벤처파트너스 파트너, 차승수 제클린 대표, 이병선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사진=제클린 제공
패션 산업이 배출하는 섬유 폐기물 문제 해결에 나선 제주도 기반 기후테크 스타트업 제클린이 대덕벤처파트너스로부터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3일 밝혔다. 구체적인 규모는 비공개다.

2017년 설립된 제클린은 세탁 서비스를 하던 중 제주도에서 버려지는 침구와 의류 폐기물 6600여톤 가운데 대부분이 소각되고 버려진다는 환경 문제에 주목했다.

유명 호텔 및 리조트 등과 ESG 파트너십을 맺고 면화 기반 원료를 공급했다. 이 원료를 통해 재생원사, 재생원단으로 탄생시키는 업사이클링 솔루션 개발에 힘써오고 있다. 현재 ICT 기반 재생 섬유의 이력 추적, 인증, 보상 플랫폼도 개발 중이다.

제클린은 앞서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신용보증기금, 서울대기술지주, MYSC 등에서도 투자를 받은 바 있다.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패션 제품의 전 생애 주기 이력 관리, 보상 체계를 기반으로 한 재생 섬유 플랫폼 서비스 구축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차승수 제클린 대표는 "폐침구류부터 폐의류 수거·재생까지 전 과정을 하나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ICT 기반 재생 섬유 플랫폼을 통해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들과 순환 자원형 섬유 재생 서비스 시장의 혁신을 이끌어 나가는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했다.

이석훈 DVP 대표는 "미래 필수 기술로 예상되는 섬유 재생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이뤄내고 있는 점, 재생 산업에서 필수 요소인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구축, 일신방직 및 섬유업계 제휴사와의 관계 등 제클린의 성장성을 평가하고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재생 비율, 투명한 제조 이력 공개 등 섬유·패션 산업은 기후위기에 따른 규제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시장의 성장 속에 더 많은 플레이어들이 등장하고 경쟁도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클린  
  • 사업분야친환경∙에너지
  • 활용기술사물인터넷, 로보틱스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제클린'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