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보위 요청에 딥시크 일주일째 '묵묵부답'
관가 "안전성 확인될 때까지 접속 차단"
![정부 부처들이 6일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선 가운데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사무실에서 공무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뉴시스](https://thumb.mt.co.kr/06/2025/02/2025020615391624098_1.jpg/dims/optimize/?1738828097)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출시된 딥시크 R1의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 등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정보통신망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다"고 내부 공지했다. 또 정부출연연구기관 23곳 등 산하 기관에 생성형 AI 활용 시 보안에 유의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AI 사용을 유의하라는 공문을 발송했다. 구체적인 기업명을 공개하진 않았으나 최근 딥시크에 대한 보안 우려가 확산하면서 단속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공문은 2023년 오픈AI의 '챗GPT' 열풍이 불었을 때도 발송한 바 있다.
이에 산업부를 시작으로 외교부, 국방부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통일부도 이날 관련 조처에 나섰다. 통일부 당국자는 "그간 국가정보원과 행정안전부 요청에 따라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민감한 정보에 대한 입력을 금지해 왔다"며 "(딥시크는) 금일 접속 차단 등 후속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교안보를 담당하는 모든 부처가 딥시크를 차단한 셈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공정거래위원회도 딥시크 차단 행렬에 동참했다.
경찰청은 업무용 PC에서 딥시크 도메인 접근을 차단했다. 또 생성형 AI 사용시 비공개 행정정보 입력에 유의하는 등 주의사항을 담은 긴급 공문을 전국 경찰관서에 보냈다.
고객정보 유출에 예민한 금융권도 발 빠른 대처에 나섰다. 한국거래소가 지난달 말 선제적으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도 관련 조처에 나섰다. 대부분의 증권사가 딥시크 금지령을 내린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은 차단 여부를 검토 중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사이버테러가 발생할 경우 피해 규모가 크기 때문에 사전 예방조치 차원"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중국에 있는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는 물론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했다. 딥시크의 답변을 검토해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 실태점검에 돌입하거나 정식 조사를 개시한다는 방침이지만, 일주일이 되도록 딥시크는 답변서를 보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딥시크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르면 사용자 아이디뿐만 아니라 △장비명 △운영체제 △키보드 입력패턴 △인터넷주소(IP) △쿠키 등도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보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페이스북에 "(딥시크가) 수집하는 정보가 매우 광범위하다. 미리 주지하고 고려해 사용해야겠다"고 지적한 바 있다.
전날 네이버(NAVER (232,000원 ▲3,000 +1.31%))·카카오 (45,300원 ▲2,100 +4.86%)·LG유플러스 (10,360원 ▲170 +1.67%) 등 ICT업계에 이어 재계에서도 딥시크 금지령을 내리는 모습이다. 삼성전자 (54,000원 ▲1,100 +2.08%), LG전자 (80,600원 ▲700 +0.88%), SK하이닉스 (203,500원 ▲4,700 +2.36%) 모두 사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특히 삼성과 LG는 자체 AI 챗봇을 운영하는 만큼 챗GPT와 딥시크 등 외부 생성형 AI를 사용할 가능성이 낮다. 현대차 (203,500원 ▼1,000 -0.49%)그룹은 현재 딥시크 사용이 제한적으로 가능하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딥시크는 보안검토 중으로 접속을 아예 막을지, 챗GPT처럼 검색용으로 허용할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 기자 사진 윤지혜 기자
- 기자 사진 이태성 기자
- 기자 사진 임찬영 기자
- 기자 사진 최지은 기자
- 기자 사진 김호빈 기자
- 기자 사진 최민경 기자
- 기자 사진 안채원 기자
- 기자 사진 박건희 기자
- 기자 사진 이강준 기자
- 기자 사진 지영호 기자
- 기자 사진 박수현 기자
- 기자 사진 김근희 기자
- 기자 사진 김진석 기자
- 기자 사진 오진영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