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진출 패스트트랙

수분 크림 고민 해결… 화장품 '발림성' 99% 예측하는 AI

박건희 기자 기사 입력 2024.05.16 10:49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ETRI

이번 술을 개발한 ETRI-테라리더 공동연구진. 유정수 ETRI 연구원, 양용석 ETRI 실장, 한석길 테라리더 대표, 이명래 ETRI  책임연구원, 한성헌 테라리더 연구원 (왼쪽부터). /사진=ETRI
이번 술을 개발한 ETRI-테라리더 공동연구진. 유정수 ETRI 연구원, 양용석 ETRI 실장, 한석길 테라리더 대표, 이명래 ETRI 책임연구원, 한성헌 테라리더 연구원 (왼쪽부터). /사진=ETRI

국내 연구진이 AI(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화장품의 '발림성'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화장품을 피부에 바를 때 느낄 수 있는 질감을 99%의 정확도로 알아맞힌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화장품의 다양한 질감을 측정하고 화장품의 발림성을 분석하는 AI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13일 국제 학술지 'ACS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인터페이스'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는 행위와 비슷한 환경을 구축했다. 피부에 화장품을 바를 때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마찰 신호를를 주파수 스펙트럼 형태로 재해석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화장품을 피부에 바를 때 나타나는 마찰력의 변화를 측정, 실제 화장품을 바를 때 느껴질 질감을 99%의 정확도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 사람의 감각에 의존해 발림성을 평가하는 현재의 평가 방식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존 '전문가 관능 평가'는 평가자가 직접 제품을 피부에 바르며 촉촉한지, 건조한지, 어느 연령층이 좋아하고 어느 계절에 바르는 게 좋을지 주관적인 느낌을 통해 점수를 매기는 방식이다.

하지만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훈련 비용이드는 데다다 결과에 대한 보완 테스트도진행해야 했다다. 수많은 화장품이 쏟아져 출시를 기다리는 상황에서 사람이 일일이 발림성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ETRI는 이번 기술로 평가자의 개인적인 평가에 따른결괏값의의 오차를 줄일 것으로 내다봤다. 또 평가 시간과 비용도 줄일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테라리더, 아모레퍼시픽 (167,300원 ▼8,700 -4.94%)과의 공동 연구로 개발한 고정밀 화장품 사용감 테스트 기기가 사용됐다. 아모레퍼시픽이 화장품 질감 측정을 위해 제공한 10종 이상의 제형 샘플을 활용해 5000개 데이터 세트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응용해, 화장품이 피부에 닿을 때 느껴지는 냉온감이나 색상, 향기에 대한 부분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양용석 ETRI 지능형부품센서연구실장은 "전 세계적 불황에도 지속적인 수요가 있는 K-뷰티 산업에서 개인 맞춤화에 앞장설 수 있는 기술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ETRI'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 기자 사진 박건희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