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말 기준 국내 업력 7년 이하 창업기업 수는 307만2000개로 나타났다. 이 중 기술기반 업종 기업은 67만6000개로 전체의 22%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번 통계의 조사 대상이 되는 기업통계등록부에 프리랜서, 1인 미디어 등 신규업종이 포함되면서 시계열 비교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1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이같은 내용의 2020년 기준 '창업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창업기업실태조사는 지난해 4월 공개된 통계청의 2020년 기준 기업통계등록부를 토대로 업력 7년 이하의 창업기업을 분석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전체 창업기업 수는 307만2000개였다. 이 중 제조업 및 정보통신, 전문과학서비스 등 지식서비스업으로 구성된 기술기반업종 창업은 67만6000개(22.0%)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청년층의 창업기업이 67만5000개(22.0%)로 조사됐다.
전체 창업기업의 매출액은 988.5조원으로 나타났다. 고용인원은 361만2000명(기업당 평균 1.2명)이었다.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의 경우 매출액은 278조5000억원(28.2%), 고용인원은 167만5000명(46.4%, 기업당 평균 2.5명)이었다. 기업 수 비중에 비해 매출액과 고용창출력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이번 조사에서 통계청의 기업통계등록부 기준이 달라지면서 시계열비교가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중기부 관계자는 "분석 대상인 2020년 기업통계등록부부터 프리랜서, 1인미디어 등 대상이 추가돼 기존에 확인되지 않던 사업체들이 들어왔다"며 "지난해 자료와 시계열비교가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
다만 2020년 자료를 이전 기준으로 일부만 재분석한 결과 창업기업 수는 200만9359개로 전년(196만2665개)대비 2.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매출액은 736조2000억원으로 0.7% 감소했고 고용 역시 294만8535명으로 1.2% 줄었다. 중기부는 2020년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풀이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8000개 창업기업을 표본으로 추출해 특성조사도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창업 전 직장 경험이 있는 창업자는 63.8%로 절반 이상이었다. 창업 경험(재창업)이 있는 경우는 36.2%였으며 평균 창업 횟수는 1.4회로 나타났다. 창업 장애요인으로는 '자금확보'가 70.7%로 가장 높았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40.3%), '창업 지식·능력·경험 부족'(28.3%) 순이었다.
주요 창업동기는 '더 큰 경제적 수입을 위해'가 52.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적성에 맞는 일이기 때문에' 38.0%, '경제·사회 발전에 이바지' 28.6% 순이었다. 창업 시 소요되는 자금은 평균 3억1800만원으로, 조달방법은 '자기자금'이 93.8%로 대부분이었다. 정부지원이나 투자를 받은 경우는 6%에 그쳤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조사 특성상 현재 상황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창업기업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고용, 매출 등의 비중을 참고하는데 의미가 있다"며 "일자리 창출 등 우수 성과를 보이는 기술기반 창업을 더욱 촉진하고, 글로벌 창업대국을 이룩할 수 있도록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1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이같은 내용의 2020년 기준 '창업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창업기업실태조사는 지난해 4월 공개된 통계청의 2020년 기준 기업통계등록부를 토대로 업력 7년 이하의 창업기업을 분석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전체 창업기업 수는 307만2000개였다. 이 중 제조업 및 정보통신, 전문과학서비스 등 지식서비스업으로 구성된 기술기반업종 창업은 67만6000개(22.0%)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청년층의 창업기업이 67만5000개(22.0%)로 조사됐다.
전체 창업기업의 매출액은 988.5조원으로 나타났다. 고용인원은 361만2000명(기업당 평균 1.2명)이었다.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의 경우 매출액은 278조5000억원(28.2%), 고용인원은 167만5000명(46.4%, 기업당 평균 2.5명)이었다. 기업 수 비중에 비해 매출액과 고용창출력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이번 조사에서 통계청의 기업통계등록부 기준이 달라지면서 시계열비교가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중기부 관계자는 "분석 대상인 2020년 기업통계등록부부터 프리랜서, 1인미디어 등 대상이 추가돼 기존에 확인되지 않던 사업체들이 들어왔다"며 "지난해 자료와 시계열비교가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
다만 2020년 자료를 이전 기준으로 일부만 재분석한 결과 창업기업 수는 200만9359개로 전년(196만2665개)대비 2.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매출액은 736조2000억원으로 0.7% 감소했고 고용 역시 294만8535명으로 1.2% 줄었다. 중기부는 2020년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풀이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8000개 창업기업을 표본으로 추출해 특성조사도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창업 전 직장 경험이 있는 창업자는 63.8%로 절반 이상이었다. 창업 경험(재창업)이 있는 경우는 36.2%였으며 평균 창업 횟수는 1.4회로 나타났다. 창업 장애요인으로는 '자금확보'가 70.7%로 가장 높았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40.3%), '창업 지식·능력·경험 부족'(28.3%) 순이었다.
주요 창업동기는 '더 큰 경제적 수입을 위해'가 52.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적성에 맞는 일이기 때문에' 38.0%, '경제·사회 발전에 이바지' 28.6% 순이었다. 창업 시 소요되는 자금은 평균 3억1800만원으로, 조달방법은 '자기자금'이 93.8%로 대부분이었다. 정부지원이나 투자를 받은 경우는 6%에 그쳤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조사 특성상 현재 상황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창업기업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고용, 매출 등의 비중을 참고하는데 의미가 있다"며 "일자리 창출 등 우수 성과를 보이는 기술기반 창업을 더욱 촉진하고, 글로벌 창업대국을 이룩할 수 있도록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중소벤처기업부'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만기 앞둔 벤처펀드 34조원…"세컨더리펀드 활성화 시급"
- 기사 이미지 "스타트업 해외진출 법률·규제 해소"…중기부-로펌 8곳과 맞손
- 기사 이미지 올 1~3분기 벤처투자 늘었지만…초기기업 투자 24.8% 급감
관련기사
- 이영 장관 "스타트업 환경 암흑기 아냐…공포 휩싸이지 않길"
- 팹리스 스타트업 리벨리온, '한국형 GPT' 위한 AI반도체 출시
- 참여신청 이틀만에 151개사 "중동 갈 스타트업, 줄을 서시오~"
-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패션 스타트업 3곳에 7억 투자
- 모빌리티 스타트업 "인증 지원 강화해 달라" 정부에 요청
- 기자 사진 고석용 기자 gohsyng@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