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인공지능) 붐을 일으킨 '챗GPT'를 만든 오픈AI가 미국 정부와 손잡고 '적대 국가'로부터 기술 탈취당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챗봇이 공개된 뒤 미 백악관까지 나서 국가안보 우려를 언급하는 등 급박히 돌아가는 상황에 발맞추는 행보로 풀이된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중국 기업들이 자체 AI 개발을 위해 끊임없이 미국의 경쟁업체들을 활용하려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성명에서 오픈AI는 "AI의 선도 업체로서 우...
김하늬기자 2025.01.30 14:00:00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공개한 저비용 인공지능(AI) 챗봇 충격으로 27일(현지시간) AI 대장주 엔비디아가 17% 급락하는 등 뉴욕증시에서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인 가운데 그동안 생성형 AI의 대표로 통했던 오픈AI의 챗GPT와 딥시크 R1을 비교한 글이 뒤늦게 화제다.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는 지난 21일 챗GPT o1 프로와 딥시크 R1에 '회전하는 삼각형 안에 들어있는 빨간색 공을 구현해달라'고 요구했다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게시자는 이와 함께 챗GPT와 딥시크가 구현한 결과를 첨부했다. 딥시크가 지난 20...
심재현기자 2025.01.28 18:00:45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고성능 칩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저비용으로 챗GPT에 필적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면서 AI 개발에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어온 미 빅테크업계는 물론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에 반도체 수출을 제한해왔던 미 정부도 충격에 휩싸였다. 미국과 옛 소련의 우주개발 경쟁이 치열했던 1957년 소련이 최초의 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미국보다 먼저 발사한 것을 빗댄 "AI 분야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라는 평가까지 나온다. 딥시크의 AI 모델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개선할 수 있는 ...
심재현기자 2025.01.28 09:52:58미국 오픈AI, 오라클과 일본 소프트뱅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에 맞춰 미국 내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5000억달러(718조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갓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이 규제 완화를 통해 AI 패권 경쟁에서 미국의 우위를 지키려는 가운데 주요 기업들도 대규모 투자로 호응하는 모양새다. 블룸버그 등 외신을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둘째날인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이들 세 회사가 '스타게이트'라는 합작벤처를 설립해 대규모 투자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타게이트는 차세...
윤세미기자 2025.01.22 15:15:17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오라클, 일본 소프트뱅크와 손잡고 AI(인공지능)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합작회사를 설립한다고 CBS방송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CBS방송 보도에 따르면 합작회사 이름은 '스타게이트'로 AI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사업을 맡을 예정이다. 이 회사는 미국 텍사스주를 시작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 오픈AI와 오라클, 소프트뱅크가 초기 자금으로 1000억 달러(143조7000억원)를 투입하고 향후 4년 간 추가로 5000억 달러(718조원)를 투자할 방침이라고 C...
김종훈기자 2025.01.22 08:10:47'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AI(인공지능) 개발업체 앤트로픽이 1년 사이 3배 이상 커진 기업가치로 투자금 유치를 진행 중이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앤트로픽이 기업가치 600억달러(87조240억원)로 새로운 자금 20억달러(약 2조9008억원) 조달을 위한 투자자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앤트로픽 상황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투자 유치는 미국 대표 벤처캐피털(VC)인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가 주도하고 있다. WSJ은 "이번 펀딩으로 앤트로픽의 기업가치는 1년(1...
정혜인기자 2025.01.08 17:23:52"텍스트 광고 문자, 카카오톡 판촉 등 모든 게 영상으로 바뀔 겁니다. 편의점이나 가게의 1+1, 오늘의 할인상품 팻말도 모두 영상을 바뀔 겁니다. AI로 실시간으로 광고영상을 생성해서 마케팅하는 것이죠. 그 비용이 고객당 MMS 수준인 몇십원으로 낮아질 거예요." (김유석 일만백만 대표) 오픈AI의 소라(Sora)가 정식 출시하면서 영상 생성AI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스타트업 일만백만은 판촉영상을 생성형AI로 제작하는 서비스를 출시하며 214조원 규모 상업 광고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일만백만의 ...
최형균기자 2024.12.25 17:48:2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 기반 영어학습 솔루션 '스픽'을 운영하는 스픽이지랩스(이하 스픽, 한국지사 스픽이지랩스코리아)가 약 1094억원(78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서 인정받은 기업가치는 1조4000억원(약 10억달러)으로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에 올라섰다. 이번 투자는 메타와 슬랙의 주요 투자사로 잘 알려진 글로벌 벤처캐피탈(VC) 엑셀(Accel)이...
남미래기자 2024.12.11 10:02:40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 선두주자인 오픈AI가 동영상 생성 AI '소라'(Sora)를 9일(현지시간) 출시했다. 영국과 유럽연합(EU)을 제외한 챗GPT 유료 사용자들은 이날부터 소라를 이용할 수 있다. 오픈AI는 이날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소라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소라는 일상 언어로 지시하면 그에 맞는 동영상을 생성해주는 AI 서비스다. 소라는 최대 1080픽셀 풀HD 해상도에 최대 20초 길이의 비디오를 여러 화면비율로 생성할 수 있다. 챗GPT플러스 이용자는 480픽셀 해상도 기준으로 매달 50개까지 영상을 생성할...
김종훈기자 2024.12.10 14:28:3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시면 말씀해주세요." 국내 헬스앤뷰티 기업 CJ올리브영 매장에 가면 항상 듣는 말이다. 이처럼 오프라인 매장을 가면 점원이 손님을 맞이한다. 점원들은 손님에게 제품을 추천하고 어떤 제품이 더 좋을지 함께 고민하기도 한다. 반면 온라인 쇼핑몰은 사실상 무인매장과 같다. 국내 이커머스 침투율(전체 소매시장 중 이커머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44%에 달할 정도로 성장했지만 온라인 쇼핑...
남미래기자 2024.11.28 0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