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진출 패스트트랙

"민생토론회, 지역투자 불균형 인식 긍정적…새 대책은 없어"

고석용 기자 기사 입력 2024.06.20 17: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경북 경산시 영남대 경산캠퍼스 천마아트센터에서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허브, 경북'을 주제로 열린 스물 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경북 경산시 영남대 경산캠퍼스 천마아트센터에서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허브, 경북'을 주제로 열린 스물 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지역 스타트업 업계는 20일 윤석열 대통령의 민생토론회에서 지역 벤처투자 활성화가 포함된 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부가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의 고질적 문제를 짚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이번 토론회에서 언급된 내용이 새로울 게 없어 아쉽다는 지적도 나왔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상북도 경산시 영남대 경산캠퍼스에서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 허브 경북'을 주제로 26번째 민생토론회를 진행하며 "경북을 '스타트업 코리아'의 주역으로 키워나가겠다"고 밝혔다. 세부 내용으로는 300억원 규모의 경북·전남 연합모펀드 조성, 지역의 초기투자 활성화를 위한 '대경권 엔젤투자허브' 등 벤처투자 대책과 경산 스타트업 파크 등 인프라 확충 등이 논의됐다.

이문락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은 "지역 스타트업 대부분이 투자를 유치하고 스케일업을 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간다"며 "투자생태계가 조성돼야 스타트업들이 지역에 남아 청년들의 일자리를 만들며 지역소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올해 1분기 벤처투자액 중 비수도권의 비중은 전체 18.8%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중에서 가장 많은 벤처투자가 발생했다는 대전도 투자규모가 서울의 8분의 1 수준에 그친다. 지방에서 창업을 했어도 스타트업의 성장에 필요한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수도권으로 기업을 이전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센터장은 "지역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 선제적으로 예산이나 인프라를 구축해주면 생태계가 살아나는 선순환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민생토론회에서 지역혁신 벤처펀드, 지역 엔젤투자허브 등이 다시 강조된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만 지원규모나 대책이 새롭지 않다는 반응도 나온다. 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스타트업 파크 등 인프라나 지역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부정책 등이 이미 공개됐던 내용"이라며 "이미 알려진 것들이 반복돼 아쉽다"고 말했다. 실제 이번 민생토론회에서 거론된 경산 스타트업파크는 2022년부터 착공 중이고, 지역혁신 벤처펀드 조성 계획도 지난해 스타트업코리아 대책에서 이미 발표된 사항이다.

중기부는 하반기 중 새로운 지역 창업생태계 대책이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지난 12일 전국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진행한 '지역창업 활성화 타운홀 미팅'에서 "지역 딥테크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대기업과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활성화 하는 내용의 '스타트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오픈이노베이션 사업이 적극적으로 대·중견기업의 수요를 발굴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편하려는 것"이라며 "하반기 중에는 발표될 것"이라고 전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중소벤처기업부'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