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보고서...한국, 글로벌 AI 전문 인재 보유 비중 0.5%에 불과
한국의 인공지능(AI) 전문 인재수가 전 세계의 0.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0개국 중 한국의 AI인재 보유 순위는 22위에 그쳤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이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해 작성한 '한미중 인공지능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를 20일 공개했다.
보고서는 AI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보고'를 인용, 2020년 전 세계 AI분야 전문 인재수는 47만7956명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39.4%(18만8300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인도 15.9%(7만6213명) △영국 7.4%(3만5401명) △중국 4.6%(2만2191명) 등의 순이었다. 한국은 2551명으로, 전체의 0.5%에 그쳤다.
보고서는 "미국은 AI 분야 우수 대학, 연구기관, 기업이 가장 많은 나라로, 석·박사 해외 유학생 의존도가 3분의2로 높다"고 밝혔다. 실제로 스탠퍼드 HAI(Human-Centerd AI)의 AI지수에 따르면, 컴퓨터 과학 분야 미국 유학생 비중은 2021년 기준 박사 68.6%, 석사 65.2%이며, 그 비중은 계속 늘고 있다.
미국은 학위과정을 마친 유학생에게 최대 36개월간 임시 취업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주는 프로그램(OPT)을 운영, 유학생이 졸업 후 미국에서 일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안보유망기술센터에 따르면, 미국에서 AI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의 82~92%가 졸업 후 첫 5년간 미국에 남아 일한다.
미국은 초중고 AI 기초교육도 확대하고 있다. 2021년에는 '2021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법' 제정으로 거의 모든 주가 컴퓨터 교육을 강화했고, 네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 테네시, 아칸소, 네브래스카 등 5개주는 컴퓨터 교육을 의무화했다
중국도 2001년부터 초중고교에서 정보기술 과목을 필수로 하고 있다. 2018년에는 세계 최초로 AI 교재를 개발해 생애주기별 AI 의무교육을 실시했다. 또 세계적 수준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규정과 틀을 넘어선 소득 및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전폭적 지원도 하고 있다.
보고서는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초중고 AI 기초교육 강화 △해외인재 영입 기반 정비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했다.
중국은 국무원이 국가차원의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교육부가 인재 양성 실행계획을 추진한다. 미국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AI 기술발전전략을 담당하고, 교육부가 AI 기초학문인 컴퓨터 과학, STEM 교육의 컨트롤타워를 맡는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 과기부, 산업부, 고용부가 각각 정책을 추진하고, 시도교육청도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보고서는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가 돼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을 제안했다.
또 현재 학교에서 운영 중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해 "형식적이고 체계적이지 않다"고 지적하고, AI 교사 확충을 강조했다. 또 AI 교육은 전문성이 중요한 만큼, 신규교사 임용 시 AI 자격증을 필수로 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글로벌 인재 확보를 위해 정부가 외국인 비자 규제 완화 등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이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해 작성한 '한미중 인공지능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를 20일 공개했다.
보고서는 AI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보고'를 인용, 2020년 전 세계 AI분야 전문 인재수는 47만7956명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39.4%(18만8300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인도 15.9%(7만6213명) △영국 7.4%(3만5401명) △중국 4.6%(2만2191명) 등의 순이었다. 한국은 2551명으로, 전체의 0.5%에 그쳤다.
보고서는 "미국은 AI 분야 우수 대학, 연구기관, 기업이 가장 많은 나라로, 석·박사 해외 유학생 의존도가 3분의2로 높다"고 밝혔다. 실제로 스탠퍼드 HAI(Human-Centerd AI)의 AI지수에 따르면, 컴퓨터 과학 분야 미국 유학생 비중은 2021년 기준 박사 68.6%, 석사 65.2%이며, 그 비중은 계속 늘고 있다.
미국은 학위과정을 마친 유학생에게 최대 36개월간 임시 취업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주는 프로그램(OPT)을 운영, 유학생이 졸업 후 미국에서 일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안보유망기술센터에 따르면, 미국에서 AI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의 82~92%가 졸업 후 첫 5년간 미국에 남아 일한다.
미국은 초중고 AI 기초교육도 확대하고 있다. 2021년에는 '2021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법' 제정으로 거의 모든 주가 컴퓨터 교육을 강화했고, 네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 테네시, 아칸소, 네브래스카 등 5개주는 컴퓨터 교육을 의무화했다
중국도 2001년부터 초중고교에서 정보기술 과목을 필수로 하고 있다. 2018년에는 세계 최초로 AI 교재를 개발해 생애주기별 AI 의무교육을 실시했다. 또 세계적 수준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규정과 틀을 넘어선 소득 및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전폭적 지원도 하고 있다.
보고서는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초중고 AI 기초교육 강화 △해외인재 영입 기반 정비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했다.
중국은 국무원이 국가차원의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교육부가 인재 양성 실행계획을 추진한다. 미국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AI 기술발전전략을 담당하고, 교육부가 AI 기초학문인 컴퓨터 과학, STEM 교육의 컨트롤타워를 맡는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 과기부, 산업부, 고용부가 각각 정책을 추진하고, 시도교육청도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보고서는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가 돼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을 제안했다.
또 현재 학교에서 운영 중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해 "형식적이고 체계적이지 않다"고 지적하고, AI 교사 확충을 강조했다. 또 AI 교육은 전문성이 중요한 만큼, 신규교사 임용 시 AI 자격증을 필수로 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글로벌 인재 확보를 위해 정부가 외국인 비자 규제 완화 등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 기자 사진 임동욱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