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양자기술 최고위 정책 심의·의결기구인 양자전략위원회가 출범한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20큐비트급 초전도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하 표준연)은 12일 대전 유성구 표준연 본원에서 열린 양자전략위원회 출범식에서 국내 기술로 개발한 20큐비트(양자컴퓨터의 기본 단위)급 초전도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연했다고 밝혔다. 시스템은 크게 하드웨어 부분인 양자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인 클라우드 환경으로 나뉜다. 성균관대와 UNIST(울산과...
박건희기자 2025.03.13 14:38:04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하 표준연)이 한국의 양자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을 총괄할 'K-퀀텀국제협력본부'로 공식 지정됐다. 표준연은 'K-퀀텀국제협력본부' 수행기관으로 지정됐다고 18일 밝혔다. 2028년까지 5년간 연 15억원을 투입해 양자기술 분야 국제 협력을 지원한다. 특히 △국제공동연구개발 기획·활성화 △해외 협력체계 구축 △국내 협력체계 구축을 3개 중점 추진 방향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국제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현지 정보를 수집·분석해 한인 과학자를 지원한다. K-퀀텀국제협력본부는 기존 운영 중인 '한-미 양자...
박건희기자 2024.11.18 09:04:17국내 연구팀이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높일 신소재를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하 표준연)은 첨단소재측정그룹 연구팀이 음이온교환막(AEM) 수전해에 쓰이는 고성능 촉매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비: 인바이런먼트 앤 에너지'에 7월 실렸다. 수전해는 물을 전기 분해해 순도 높은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말한다. AEM 수전해는 다양한 수전해 기술 중 하나로, 주로 백금(Pt), 이리듐(Ir) 등 값비싼 금속 촉...
박건희기자 2024.10.15 15:3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