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전기차 '메기' 될까" 하나둘씩 한국 상륙…샤오미도 가세

강주헌 기자 기사 입력 2025.01.15 16:45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MT리포트-'K'잡는 'C'의 침공] ⑤BYD 시작으로 지커·샤오펑·샤오미 진출 속도

[편집자주] '중국산=저가 양산형 제품' 공식을 깨 대륙의 실수로 불리는 샤오미가 국내 법인을 설립하고 한국 스마트폰·가전·전기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앞서 알리·테무·비야디 등 중국기업의 공세가 거센 가운데 샤오미 등이 대륙의 실력을 보여줄지, 찻잔 속 태풍에 그칠지 영향을 짚어보고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을 알아본다.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한국 시장 공략/그래픽=이지혜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한국 시장 공략/그래픽=이지혜
한국 시장에 진출하는 중국 기업들의 주요 공략처 중 하나가 자동차 산업이다. BYD, 지커, 샤오펑 등 전기차 브랜드는 물론이고 중국 빅테크 기업 샤오미도 한국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렌터카와 같은 B2B(기업 간 거래) 시장에 먼저 진입해 저변을 넓힐 가능성이 높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 한국법인(샤오미테크놀로지코리아)은 지난해 9월 출범하면서 정관에 기재한 사업 목적에 '자동차(부품 포함) 수입 및 도소매업'을 포함했다. 샤오미는 전기차 시장 후발 주자이지만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2021년 전기차 시장에 진출한 샤오미는 지난해 전기차 13만5000대를 인도했고 올해는 30만대를 목표로 세웠다. 샤오미는 지난해 3월 대형 세단 'SU7'을 출시한 데 이어 올해 6~7월 두번째 전기차이자 첫 SUV(다목적스포츠차량) 'YU7'을 선보인다.

중국 자동차 업체의 공습은 거세지고 있다. BYD, 지커가 상륙한 데 이어 샤오펑도 최근 한국 진출을 꾀하고 있다. 샤오펑은 최근 한국지사 설립을 위해 대표 선임 등 국내 인력 확보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부터 샤오펑의 전기 세단 'P5'가 국내에서 시험 주행하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한국 진출 가능성이 제기돼왔다.

BYD는 오는 16일 한국에서 승용차 출시 행사를 열고 국내 시장에 차량 판매를 시작한다. 국내에 출시될 첫 차량으로 준중형 전기 SUV '아토3'를 선보인다. '실', '돌핀', '시라이언7' 등 다른 모델의 인증 절차도 밟고 있다. 지리그룹의 고급 전기차 브랜드인 지커 또한 올해 안에 한국 시장에 진출할 것이 유력하다.

중국은 자국 내 과잉 생산으로 판로를 전방위적으로 찾고 있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도 관세 부과, 역내 보조금 정책 등 대중국 제재를 강화하면서 한국 시장으로 눈을 돌린 것. 중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년 연속 세계 자동차 수출 1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한 473만4000대 자동차를 수출했다.

중국 전기차 브랜드는 B2C(기업과 개인 간 거래) 시장 대신 B2B 시장에 먼저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하차감'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렌터카나 법인 차량 등 통해 소비자들이 중국 전기차를 직접 경험하게 한 뒤 일반 소비자들의 수요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현대차·기아도 미국 시장에서 렌터카와 리스 등 플릿 판매(상업용 차량) 방식으로 소비자와 접촉면을 늘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 업체도 이를 벤치마킹하려는 셈이다.

국내 시장 판매에 그치지 않는다. 미국의 대중국 제재가 심화하면서 한국을 수출 우회로로 택한 측면도 있다. 미국은 IRA(인플레이션감축법)에 따라 중국산 전기차에 이미 10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그치지 않고 미국은 중국차의 우회국인 멕시코에도 관세 인상까지 예고한 상태다. BYD는 판매조직뿐 아니라 한국 내 조립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다.

업계에서는 중국산 전기차가 국내 시장에 상존해 있는 중국산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당장 전체 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크게 늘리긴 어렵다고 본다. 다만 중국 전기차의 제품력이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도 검증을 받은 만큼 과거에 비해 크게 성장했기 때문에 국내 시장에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업계는 민관 협력 체계 강화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김창환 현대차 부사장은 "중국은 인적, 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배터리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며 "이에 맞서려면 민관협력체제를 통해 차별화된 기술력과 원가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 기자 사진 강주헌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