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카카오 (36,200원 ▲1,050 +2.99%)가 플랫폼과 콘텐츠 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2024년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1조 9884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1203억원이며 영업이익률은 6%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플랫폼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954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플랫폼 부문 중 카카오톡을 통해 광고·커머스 사업을 펼치는 톡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5221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 다각화로 경쟁력을 확보한 다음 등 포털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늘어난 847억원으로 집계됐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 매출은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대리, 주차 등 전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과 카카오페이의 해외 및 오프라인 결제액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480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 사업의 또 다른 축인 콘텐츠 부문의 매출은 1조 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콘텐츠 부문 내 뮤직 매출은 46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2% 성장했다.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대를 추진하는 스토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2270억원을 기록했다. 미디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952억원이다.
1분기 연결 영업비용은 1조 86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카카오는 올해 카카오톡이 플랫폼으로서 가진 자산 요소와 메시지로서의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방향에 집중한다. 카카오톡의 1분기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전분기 대비 24만명 늘어난 4870만명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사용자 연결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소셜 그래프 계정, 멀티 프로필, 멀티 계정 등을 순차적으로 준비할 예정이다. 또 다양한 목적에 맞는 새로운 타입의 채팅방들을 신규 발굴해 사용자들이 더 편리하게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I(인공지능)와 관련해서 카카오는 올해 AI 기술의 일상화 및 대중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AI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지난 2일 AI 연구·개발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AI 기반 언어 모델과 이미지 생성 모델 등을 영업 양수하기로 결정했다. 초거대 AI 언어모델 'Ko-GPT'를 비롯해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 '칼로(Karlo)', 다양한 경량화 언어모델 등을 보유한 카카오브레인의 기술 역량과 카카오가 보유한 서비스 강점을 결합해 속도감 있게 AI 서비스를 내놓는 것이 목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날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I(인공지능)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으로 더 높은 주주가치 달성을 위해 현재의 현금 흐름을 미래에 재투자하는 것"이라며 "투자가 현재의 재무 건전성을 해치거나 수익성을 과도하게 침해하지 않도록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는 게 자본시장의 요구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빠르게 변화하는 AI 시대에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의 공개와 사업성을 갖춘 서비스 출시에 있어 시장의 기대에 비해 저희가 다소 늦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AI 관련 서비스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알리,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가 국내에 진출한 영향에 대해서는 선제 대응을 통해 마케팅 예산을 성공적으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향후 중국 이커머스 광고주들의 니즈에 맞는 대응을 통해 마케팅 예산을 유치하면서 국내 이커머스 산업 전반을 예의주시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선물하기의 경우 차별화된 상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진출로 인한 영향은 다른 커머스 대비 제한적이라고 판단한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플랫폼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954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플랫폼 부문 중 카카오톡을 통해 광고·커머스 사업을 펼치는 톡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5221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 다각화로 경쟁력을 확보한 다음 등 포털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늘어난 847억원으로 집계됐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 매출은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대리, 주차 등 전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과 카카오페이의 해외 및 오프라인 결제액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480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 사업의 또 다른 축인 콘텐츠 부문의 매출은 1조 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콘텐츠 부문 내 뮤직 매출은 46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2% 성장했다.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대를 추진하는 스토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2270억원을 기록했다. 미디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952억원이다.
1분기 연결 영업비용은 1조 86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카카오는 올해 카카오톡이 플랫폼으로서 가진 자산 요소와 메시지로서의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방향에 집중한다. 카카오톡의 1분기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전분기 대비 24만명 늘어난 4870만명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사용자 연결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소셜 그래프 계정, 멀티 프로필, 멀티 계정 등을 순차적으로 준비할 예정이다. 또 다양한 목적에 맞는 새로운 타입의 채팅방들을 신규 발굴해 사용자들이 더 편리하게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I(인공지능)와 관련해서 카카오는 올해 AI 기술의 일상화 및 대중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AI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지난 2일 AI 연구·개발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AI 기반 언어 모델과 이미지 생성 모델 등을 영업 양수하기로 결정했다. 초거대 AI 언어모델 'Ko-GPT'를 비롯해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 '칼로(Karlo)', 다양한 경량화 언어모델 등을 보유한 카카오브레인의 기술 역량과 카카오가 보유한 서비스 강점을 결합해 속도감 있게 AI 서비스를 내놓는 것이 목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날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I(인공지능)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으로 더 높은 주주가치 달성을 위해 현재의 현금 흐름을 미래에 재투자하는 것"이라며 "투자가 현재의 재무 건전성을 해치거나 수익성을 과도하게 침해하지 않도록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는 게 자본시장의 요구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빠르게 변화하는 AI 시대에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의 공개와 사업성을 갖춘 서비스 출시에 있어 시장의 기대에 비해 저희가 다소 늦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AI 관련 서비스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알리,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가 국내에 진출한 영향에 대해서는 선제 대응을 통해 마케팅 예산을 성공적으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향후 중국 이커머스 광고주들의 니즈에 맞는 대응을 통해 마케팅 예산을 유치하면서 국내 이커머스 산업 전반을 예의주시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선물하기의 경우 차별화된 상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진출로 인한 영향은 다른 커머스 대비 제한적이라고 판단한다.
- 기자 사진 이정현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