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전면 허용된 지난 1년간 플랫폼 이용자는 680만명, 진료요청은 140만건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원격의료산업협의회(원산협)는 지난 1년간 비대면진료 요청 건수가 137% 증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원산협은"비대면진료가 국민 필수 의료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며 "비대면진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법제화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
남미래기자 2025.03.25 15: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CES에서는 촉각도 감지하는 IT 기술이 등장했습니다. 이제 촉진(손으로 만지는 진찰)도 비대면 진료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전화로 비대면진료를 허용하는 시대를 끝내야 합니다." 23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비대면진료의 효과적·안정적 도입을 위한 전문가 좌담회'가 열린 가운데 권용진 서울대 공공진료센터 교수는 "코로나 이후에도 비대면진료가 진일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
남미래기자 2025.01.23 18: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계가 정부의 비만치료제 비대면 처방 제한 조치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3일 원격의료산업협의회(원산협)는 입장문을 통해 "정부의 '비만치료제 비대면 처방 제한 조치 및 질환별 맞춤형 비대면 진료모형 검토 추진'을 환영한다"며 "이번 조치가 보다 안전하고 신뢰받는 비대면진료 체계 구축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협의회는 향후 정부와 의료계가 마련한 비대면 진료...
남미래기자 2024.12.03 18: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의 오남용을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일부 사실과 다르다며 입장문을 냈다. 최근 비만치료제 신약 출시 이후 일부 인플루언서 및 정상 체중의 일반인들이 해당 약 처방 과정에서 비대면진료를 이용한 것이 밝혀지면서 우려가 제기됐다. 지난 국정감사에서도 이를 제도적으로 보완할 필요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6일 닥터나우, 메라키플레이스, 굿닥 등 비대면진...
남미래기자 2024.11.06 16: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기적의 비만치료제'로 알려진 위고비가 지난 15일 국내 출시된 후 비대면진료 플랫폼 이용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진료로 간편하게 위고비를 처방받고 재고가 있는 약국과 가격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다. 그러나 의사의 충분한 진료와 설명 없이 처방이 이뤄지거나 정상 체중인 일반 이용자까지 비대면진료를 통해 처방을 받는 경우도 많아 비만약 오남용을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1일 모바일인...
남미래기자 2024.10.21 14:3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