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납치 기술' 7년 전에 개발…北무인기 실전엔 왜 못썼나

김인한 기자 기사 입력 2022.12.28 08:2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정부 2025년까지 439억 투입해 '불법 무인기 대응기술' 개발
다만 2015년부터 원천기술 나왔지만, 제품화로 이어지지 않아
"안티 드론 국책사업 수년간 예산多 투입, 관련 성과추적 필요"

2017년 공개된 북한 무인기. / 사진=머니투데이DB
2017년 공개된 북한 무인기. / 사진=머니투데이DB

북한 군용 무인기 5대가 서울 북부와 경기도 김포·파주, 인천 강화도 일대 등 우리 영공을 침범한 가운데, 관련 대응 기술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다만 현재도 무인기 위협을 방지·제거하는 '안티 드론'(Anti-Drone)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제품화로 이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기초에서 응용'으로 이어지는 연구개발(R&D) 전주기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과학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4월부터 소속 연구기관 등과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 기술'을 개발 중이다. 북한 무인기처럼 불법 드론을 조기에 탐지·식별·분석·무력화하겠다는 목적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주관하는 해당 사업은 2025년까지 총 439억원이 투입된다.

원자력연은 원자력발전소나 공항 인근에서 불법드론을 초도 탐지하는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LIG 넥스원은 지상무력화장비인 재머 등을 개발 중이다. 재머는 통신 또는 레이더 체계의 사용을 방해·제한하는 장치다. 잡음이나 불연속 주파수를 이용해 무인기 전파를 방해하는 전자전 무기체계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도 근거리에서 불법 무인기를 그물망으로 포획하는 항공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다만 이 기술들은 내년부터 실증할 계획이서 상용화까지는 여전히 3년 이상이 소요된다. 실질 전력화되는 시기는 2026년 이후가 될 전망이다. 정부가 R&D 점검에 나서 연구기관과 산업체로 이어지는 응용 단계를 가속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23개 기관이 지난해 4월부터 수행하고 있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 기술개발 사업'. 이 사업에는 2025년까지 총 439억원이 투입된다.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23개 기관이 지난해 4월부터 수행하고 있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 기술개발 사업'. 이 사업에는 2025년까지 총 439억원이 투입된다.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보다 앞선 연구도 존재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3㎾(킬로와트)급 광섬유 레이저 광원을 통해 무인기를 격추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한화에 이전했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레이저 출력이 킬로와트급으로 높아지면 수㎜ 두께의 강철도 자를 수 있는 강력한 성능을 보인다. 한화 관계자는 "관련 기술개발이 목표대로 이어지고 있으며 내년 중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민간에서는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 등이 2015년부터 안티 드론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해왔다. 김용대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GPS(글로벌위성항법시스템) 신호를 이용해 드론의 위치를 속이는 방식으로 '드론 납치 기술'을 개발했다.이 기술은 급격한 방향 변화 없이 드론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해 테러 등의 목적을 가진 불법 드론에 즉각 대응할 수 있다. 연구팀은 불법 무인기를 잡는데 레이저, 전자파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 중이다.

다만 다수의 국책연구사업이 방산 분야에 지원되고 있지만, 소위 '연구를 위한 연구'에 그치는 경우도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익명을 요구한 서울대 교수는 "북한 무인기 침투가 한 두번이 아니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기술이 이미 활용되고 있다"며 "수년간 정부 주도로 '안티 드론' 사업이 뿌려졌지만 현재까지 실전에 준비조차 안 됐다는 건 연구개발 성과 추적이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기자 사진 김인한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