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융합 에너지에 1.2조 투자…민간 참여 대폭 확대

박건희 기자 기사 입력 2024.07.22 14: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케이스타(KSTAR) 주장치/사진=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케이스타(KSTAR) 주장치/사진=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원 '핵융합에너지'의 첫 구현을 두고 전 세계적인 각축전이 벌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1조 2000억원 규모의 핵융합에너지 인프라 구축 사업에 나선다. 민간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핵융합에너지 구현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2일 대전 유성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핵융합연)에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로 제20차 국가핵융합위원회를 열고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안'을 의결했다.

과기정통부는 연내 1억 2000억원 규모의 '핵융합 혁신형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기획, 추진할 예정이다.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 탈탄소 시대 에너지 안보·주권의 핵심축으로 도약하는 게 정책 목표다.

'인공태양'으로도 불리는 핵융합에너지는 태양에서 열에너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모방한 에너지 기술이다. 가벼운 수소를 충돌시켜 무거운 헬륨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한다. 발전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데다 폭발의 위험도 낮아 깨끗하고 안전한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미국, 중국, 유럽이 앞다퉈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 핵융합 에너지를 실제 구현한 사례는 없다. 한국에서는 핵융합연이 핵융합 에너지 관련 R&D(연구·개발)를 도맡아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케이스타(K-STAR)를 개발한 바 있다. 프랑스 남부에 구축 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 '이터(ITER)'에도 핵심 구성원으로 참여 중이다.

정부가 내놓은 전략안의 핵심 3대 전략은 △민관 협력을 통한 핵융합 기술 혁신 △핵융합에너지 산업화 기반 구축 △핵융합에너지 혁신생태계 조성이다.

먼저 핵융합연 등 공공 기관이 핵융합 부품 설계 및 성능 검증을 맡고, 민간이 부품을 대량 생산하는 방식의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민간 컨소시엄을 구성해 소형 핵융합로 개발에도 나선다.

민간이 주도하는 핵융합 산업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연내 민간기업, 대학, 출연연으로 구성된 '핵융합 혁신 포럼'을 출범한다. 더불어 핵융합 관련 민간의 스타트업 창업과 조기 안착을 지원하는 'K-퓨전(Fusion)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또 핵융합연이 보유한 핵융합 연구장치 KSTAR를 민간이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민간 기업의 실험 참여를 확대하는 등 핵융합 개방형 연구생태계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날 위원회 주재를 맡은 이종호 장관은 "민관 협력 중심의 R&D 전환과 핵융합 생태계 강화를 통해 핵융합에너지를 조기 확보해 에너지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기자 사진 박건희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