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 만에 뚝딱" 스노우, AI 아바타·프로필 잇단 흥행
라스코.ai로 텍스트→이미지 실험…"2달만에 100만장 생성"
네이버(NAVER (190,000원 ▲300 +0.16%))의 컴퍼니 빌더(스타트업을 창업·육성하는 기업)인 스노우가 이미지 생성형 AI 빌더로 재탄생했다. △LLM(거대언어모델) '챗GPT' △이미지 생성형 AI '달리'(DALL·E) 두 축을 중심으로 한 오픈AI와 달리, 네이버는 LLM '하이퍼클로바'에만 집중해 왔으나 최근엔 스노우가 이미지 생성형 AI 상용화 서비스를 대거 선보이는 추세다.
19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5~11일 스노우 앱 WAU(주간활성이용자)는 266만2216명(구글·애플 합산)으로 5월 넷째주(22~28일) 대비 21% 증가했다. 지난달 25일 출시한 'AI 프로필' 서비스가 대흥행한 여파다. 서비스 출시 전날 약 60만명이었던 DAU(일간활성이용자는)는 이달 3일 90만명으로 치솟기도 했다.
AI 프로필은 셀카 10~20장을 올리면 AI가 사진관에서 촬영한 듯한 고품질의 프로필 사진을 제작해 주는 서비스다. 24시간 내 제작엔 3300원, 1시간 내엔 6600원을 내는 유료 서비스인데도 이용자가 몰려 서비스가 한때 다운되기도 했다. 국내 한정 출시된 서비스지만 태국·인도네시아 등에서 "K화장을 한 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입소문이 나며 해외 이용자 유입도 급증했다.
스노우 관계자는 "올 초 'AI 아바타' 서비스를 선보였을 때 보름간 20만명이 접속해 이번엔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증설했는데도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인파가 몰렸다"라며 "당초 일본을 시작으로 서비스 국가를 늘려갈 예정이었는데 해외에서도 VPN으로 접속하는 등 수요가 커 조만간 글로벌 동시 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진 없이도 텍스트로 이미지 생성…저변 넓히는 스노우 스노우 자회사 네이버제트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 이미지 생성형 AI를 도입했다. 제페토는 최근 신규 이용자가 사진 3장을 올리면 이를 바탕으로 AI가 최대 12장의 아바타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이후 신규 앱 다운로드가 2배 증가했다. "기존 이용자도 체험하게 해달라"는 요구가 빗발쳐 현재 서비스 대상을 전 이용자로 넓힌 상태다.
네이버제트는 AI 아바타 서비스를 일본·태국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페토 내 생성형 AI 기술 활용범위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네이버제트는 "한 장의 사진만으로 자신과 닮은 아바타를 간편히 제작할 수 있어 고품질의 콘텐츠 제작 허들이 한층 낮아졌다"라며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해 크리에이터의 창작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을 고도화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달리'·'미드저니'처럼 사진이 아니라 프롬프트(명령어)만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기술도 연구 중이다. 스노우가 지난해 설립한 슈퍼랩스는 4월 '라스코.ai' 무료 베타 서비스를 선보였다. 8개 화풍 중 하나를 선택하고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사람·동물·풍경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서비스로 두 달간 약 100만장을 생성했다.
카카오브레인의 '칼로'가 이끌어 온 국내 이미지 생성형 AI 시장에 네이버 표 서비스가 등장한 셈이다. 다만 라스코.ai는 아직 초기 단계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한 건 아니다. 이에 스노우는 올해 두 차례의 슈퍼랩스 유상증자에 참여, 20억원을 출자하며 지원사격에 나섰다. 수퍼랩스는 생성형 AI 기술을 고도화해 가상인간 사업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스노우 관계자는 "기존의 이미지 생성형 AI는 별도 프로그램을 다운받거나 디스코드 등에 접속해야 하는 등 이용 방법이 번거로웠다"라며 "스노우는 카메라 앱인 만큼 이용자가 일상에서 이미지 생성형 AI를 친숙하고 편리하게 경험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이미지 생성형 AI 저변확대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19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5~11일 스노우 앱 WAU(주간활성이용자)는 266만2216명(구글·애플 합산)으로 5월 넷째주(22~28일) 대비 21% 증가했다. 지난달 25일 출시한 'AI 프로필' 서비스가 대흥행한 여파다. 서비스 출시 전날 약 60만명이었던 DAU(일간활성이용자는)는 이달 3일 90만명으로 치솟기도 했다.
AI 프로필은 셀카 10~20장을 올리면 AI가 사진관에서 촬영한 듯한 고품질의 프로필 사진을 제작해 주는 서비스다. 24시간 내 제작엔 3300원, 1시간 내엔 6600원을 내는 유료 서비스인데도 이용자가 몰려 서비스가 한때 다운되기도 했다. 국내 한정 출시된 서비스지만 태국·인도네시아 등에서 "K화장을 한 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입소문이 나며 해외 이용자 유입도 급증했다.
스노우 관계자는 "올 초 'AI 아바타' 서비스를 선보였을 때 보름간 20만명이 접속해 이번엔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증설했는데도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인파가 몰렸다"라며 "당초 일본을 시작으로 서비스 국가를 늘려갈 예정이었는데 해외에서도 VPN으로 접속하는 등 수요가 커 조만간 글로벌 동시 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진 없이도 텍스트로 이미지 생성…저변 넓히는 스노우 스노우 자회사 네이버제트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 이미지 생성형 AI를 도입했다. 제페토는 최근 신규 이용자가 사진 3장을 올리면 이를 바탕으로 AI가 최대 12장의 아바타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이후 신규 앱 다운로드가 2배 증가했다. "기존 이용자도 체험하게 해달라"는 요구가 빗발쳐 현재 서비스 대상을 전 이용자로 넓힌 상태다.
네이버제트는 AI 아바타 서비스를 일본·태국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페토 내 생성형 AI 기술 활용범위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네이버제트는 "한 장의 사진만으로 자신과 닮은 아바타를 간편히 제작할 수 있어 고품질의 콘텐츠 제작 허들이 한층 낮아졌다"라며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해 크리에이터의 창작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을 고도화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달리'·'미드저니'처럼 사진이 아니라 프롬프트(명령어)만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기술도 연구 중이다. 스노우가 지난해 설립한 슈퍼랩스는 4월 '라스코.ai' 무료 베타 서비스를 선보였다. 8개 화풍 중 하나를 선택하고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사람·동물·풍경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서비스로 두 달간 약 100만장을 생성했다.
카카오브레인의 '칼로'가 이끌어 온 국내 이미지 생성형 AI 시장에 네이버 표 서비스가 등장한 셈이다. 다만 라스코.ai는 아직 초기 단계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한 건 아니다. 이에 스노우는 올해 두 차례의 슈퍼랩스 유상증자에 참여, 20억원을 출자하며 지원사격에 나섰다. 수퍼랩스는 생성형 AI 기술을 고도화해 가상인간 사업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스노우 관계자는 "기존의 이미지 생성형 AI는 별도 프로그램을 다운받거나 디스코드 등에 접속해야 하는 등 이용 방법이 번거로웠다"라며 "스노우는 카메라 앱인 만큼 이용자가 일상에서 이미지 생성형 AI를 친숙하고 편리하게 경험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이미지 생성형 AI 저변확대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 기자 사진 윤지혜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