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1기 모집

자율주행·퍼스널모빌리티 등 그물망처럼 교통이 연결되는 日우븐시티

방윤영 기자 기사 입력 2023.06.20 08:04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미래도시가 온다]④한발 앞으로 다가온 전세계 스마트시티

도요타 '우븐시티' 조감도 /사진=도요타 우븐시티 홈페이지
도요타 '우븐시티' 조감도 /사진=도요타 우븐시티 홈페이지
스마트도시는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으면서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스마트도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미국·싱가포르 등 주요 선진국을 필두로 153개국이 스마트도시 사업이 진행되면서 시장 규모도 급속히 성장 중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업체 마켓앤마켓(Markets&Markets)에 따르면 스마트도시 시장은 2020년 4108억달러(약 525조원)에서 2025년 8207억달러(약 1050조원)로 연평균 14.8%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해외 스마트도시 사업 구조는 대부분 우리나라와 같이 민관협력 형태가 대부분이지만 민간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향이 강조되고 있어, 우리나라도 민간이 스마트도시 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건설연구원이 2020년 12월 발표한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과 건설산업의 대응 방향' 등에 따르면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도요타그룹의 일본 '우븐시티'(Woven City)다. 자율주행 자동차,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 스마트홈, 인공지능 등 모빌리티 중심의 서비스가 어우러진 스마트도시로 그물망처럼 도로가 연결되는 모습에 착안해 '우븐시티'로 이름 지었다. 가장 큰 특징은 제안·기획·실행까지 순수하게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스마트도시 사업이라는 점이다.
우븐시티/사진=도요타 우븐시티 홈페이지
우븐시티/사진=도요타 우븐시티 홈페이지
도요타는 2020년 1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 제품 전시회인 'CES 2020'에서 우븐시티 구상을 밝혔고, 이듬해 착공에 들어갔다. 후지산 인근 도요타 폐공장인 동부 후지공장 부지 70만㎡로 이곳에 스마트 실증도시를 조성한다.

중국 항저우시는 민간기업인 알리바바의 기술력에 의존해 교통 문제해결에 최적화한 '시티브레인'을 추진 중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 자원을 최적화하는 모델로 'IDC 2018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에서 교통부문 대상을 받는 등 단기간에 구체적 성과를 이뤘다. 이 모델은 하이난과 마카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등 11개 도시에 도입됐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콜럼버스'는 연방정부의 기금 지원(5000만 달러)을 기반으로 하지만 지방 예산(1900만 달러)과 민간투자(7100만달러)가 함께 이뤄진 형태다. 지역 기업과 전력회사, 주립대학을 주축으로 사업을 이끌면서도 빅테크, 글로벌 자동차 회사 등 다양한 민간기업이 자유롭게 참여한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업계에서도 민간이 주도하는 형태로 스마트도시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20년 '해외 주요 스마트시티 사례 시사점' 보고서에서 "스마트도시 성공을 위해선 민간이 사업을 주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민간 주도 형태가 곧 정답은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구글 지주사인 알파벳이 참여해 주목받은 '토론토 퀘이사이드' 프로젝트다. 구글이 2015년 이 프로젝트를 수주해 민간 제안 사업으로 진행됐으나 2020년 5월 코로나19 영향으로 경기 침체와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결국 구글은 사업을 철수했고, 프로젝트는 실패로 돌아갔다. 미국 공룡 IT 기업에 대한 반감, 개인정보 침해, 사생활 유출 등 사회적 우려도 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스마트도시 사업은 민간의 기술력 없이 어려운 사업으로 민간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며 "구글의 토론토 퀘이사이드 사례에서 보듯 민간 참여가 커질 때 사회적 우려도 함께 존재할 수 있는 만큼 민간 참여를 통해 부가가치는 높이되 도시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균형 모색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 기자 사진 방윤영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