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진출 패스트트랙

혈액투석 여과기 국산화 길 열리나 …150% 성능 높은 중공사막 개발

류준영 기자 기사 입력 2024.06.24 10: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GIST, 요독 제거 성능 150% 향상된 고성능 혈액투석용 중공사 분리막 개발
김인수 교수, 2021년 혈액투석용 중공사 분리막 제조 기업 이노셉 설립, CTO 맡아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_(왼쪽부터) 김인수 교수, Thanh-Tin Nguyen(제1저자)
사진_(왼쪽부터) 김인수 교수, Thanh-Tin Nguyen(제1저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환경공학부 김인수 교수 연구팀이 공압출(두 개 이상의 다른 재료를 동시에 압출하는 기술)로 고분자를 섬유화하는 공정(방사)을 통해 '고성능 혈액투석용 중공사 분리막'(이하 중공사막)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중공사막은 가느다란 원통형으로 성형한 분리막을 말한다. 실 형태의 내막 혹은 외막 표면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불순물을 분리한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번 성과는 기존 이중 방사노즐과 비교했을 때 '순수 수투과도'는 400% 증가하고 '요독 물질 제거 효율'은 150% 높아진 반면 혈액 내 존재하는 단백질 손실량은 50% 이하로 감소돼 향후 상용화된다면 혈액투석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김인수 교수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혈액투석용 중공사막 국산화를 위해 고성능 혈액투석용 중공사 분리막 개발 연구를 진행 중이며, 2021년 혈액투석용 중공사 분리막 제조 기업 이노셉을 설립, 현재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고 있다.

말기신부전증 환자는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혈액 내 요독 물질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등 치료가 필요하며 이중 혈액투석 환자가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혈액투석은 중공사막을 이용해 혈액 내 요독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신장 기능을 대체하는 치료법으로 환자의 혈액을 중공사막 내측으로 순환시키고, 외측으로 투석액을 순환시켜 혈액 안에 있는 요독 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문에 혈액투석 시 사용되는 혈액투석용 중공사막의 성능은 혈액투석의 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연구팀은 중공사막 제조 시 삼중 방사노즐을 이용해 고분자 용액을 방사하면서 외측에 유기용매를 동시에 방사하는 공압출 방사 공정을 도입해 중공사막의 내측과 외측 기공 구조를 동시에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요독 물질 제거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연구팀은 중공사막의 내측과 외측의 기공 구조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중공사막 제조 시 삼중 방사 노즐을 사용해 노즐 중앙과 최외각 층에 흐르는 용액의 조성을 조절했다.

혈액투석용 중공사막의 내측의(혈액이 닿는 부분) 평균 기공 크기는 약 8.4 나노미터, 외측의(투석액이 닿는 부분) 평균 기공 크기는 내측 기공 크기의 약 230배에 달하는 1.9 마이크로미터로 조절했으며, 중공사막의 단면을 요독 물질 수송에 유리한 단일 핑거형(손가락 모양의 단면구조)으로 최적화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분리막은 130mL/m2.h.mmHg의 순수 수투과도와 혈액내 주요 요독 물질인 요소에 대해 124,865mg/m2의 제거 효율 및 146mg/session(4시간의 혈액투석 중 손실되는 혈액 내 단백질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단백질 손실량을 나타냈다.

이는 일반적인 이중 방사노즐로 제조된 혈액투석용 중공사막의 순수 수투과도(32mL/m2.h.mmHg), 요독 제거 효율(77,133mg/m2) 및 단백질 손실량(320mg/session)과 비교해 각각 400%, 150% 증가 및 54% 감소한 수치이다.

또 연구팀이 개발한 분리막은 해외 기업의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상용 혈액투석용 중공사막과 비교해 요독 제거 효율 및 혈액 내 단백질 손실 저감 측면에서 우수한 혈액투석 성능을 나타냈다.

김 교수는 "향후 혈액투석용 중공사막이 상용화될 경우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혈액투석용 중공사막을 대체할 뿐 아니라 신장질환 환자의 치료 효율을 크게 개선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광주과학기술원'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